천문학적 금전 피해 예상…개인정보 유출 우려도
4대 업체 포함 5~6곳 생존 전망…줄폐업 가능성
전문가 “다수 거래소 진입 통해 상폐 피해 줄여야”
정부가 최근 비트코인을 비롯한 가상화폐 규제에 속도를 내고 있지만 정작 중요한 투자자 보호책은 뒷전으로 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특정 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특금법)’ 시행령으로 거래소 줄 폐업이 예상되는 상황에서도 아무런 대책을 내놓고 않아 비판의 목소리가 높다.
8일 업계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거래소에 회사 개요와 재무 등 기본사항 외 최근 5년 간 임직원의 관련 불법행위 발생 여부, 해킹 발생 내역, 기타 정부기관으로부터 조사·제재 받은 내역 등을 사업 추진 계획서에 포함시키도록 했다.
가상화폐 거래소들은 오는 9월 24일까지 특금법에 따라 요건을 갖추고 금융정보분석원(FIU)에 가상자산 사업자 신고를 마쳐야 한다. 신고 요건에는 ISMS 인증과 실명확인 입출금 계정 개설 확인 등이 포함된다.
문제는 금융당국이 마련한 기준과 제재는 점차 까다로워지는 반면 투자자 보호에 대한 내용은 전혀 포함돼있지 않다는 점이다. 거래소가 사업 허가를 받지 못해 영업을 중단할 경우 해당 업체에 상장돼 있는 코인들은 폐지 절차를 밟을 수밖에 없는데 이 과정에서 투자자들의 피해가 속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업계에서는 특금법 시행 이후 빗썸과 업비트, 코인원, 코빗 등 4대 거래소를 포함해 5~6개정도의 업체만 살아남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한 거래소 관계자는 “투자자 입장에서 할 수 있는 것은 현행법상 규정화된 것이 없기 때문에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며 “옥석가리기도 중요하지만 명확한 기준을 통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가는 것이 맞다”고 설명했다.
특히 거래소 폐업 이후 고객 개인정보 유출로 인한 피해도 우려된다. 폐업 과정에서 업체가 정보를 삭제한다 하더라도 어떤 경로를 통해 복구 또는 유출될 가능성을 배제하기 힘들다는 설명이다.
다른 거래소 관계자는 “폐업절차로 가는 거래소들은 직원들이 급속히 이탈하는 가운데 고객 정보를 가진 데이터 서버 등이 물리적으로 청산될 것”이라며 “청산 이후 해당 정보를 어떻게 취급할지에 대해 법적으로 규정되지 않아 유출 가능성을 배제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이어 “개인정보 관련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지 않을 경우 그 책임을 모두 폐업하는 거래소가 떠안아야 되는 상황”이라며 “이는 가상화폐 산업을 위축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전문가들 역시 정부가 가상화폐를 제도권에 올려놓는 것이 목적이라면 이에 맞는 투자자 보호 대책 역시 마련해야 된다고 입을 모았다.
다만 피해 대책을 졸속으로 준비할 경우 또 다른 피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점진적인 방안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보다 많은 거래소를 시장에 진입시켜 상장 폐지되는 가상화폐를 최소화하는 방안 등이 거론된다.
김형중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교수는 “4~5개 사이의 거래소만 허가를 내주는 것은 오히려 일부 업체에게 특혜를 주는 것처럼 비춰질 수 있다”며 “검증은 확실하게 하되 많은 거래소를 남기는 것이 투자자 보호 차원에서도 긍정적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