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자구안 통과로 몸집 줄인 쌍용차, 새 주인 찾기 속도


입력 2021.06.08 15:39 수정 2021.06.08 15:56        박영국 기자 (24pyk@dailian.co.kr)

직원 절반 무급 휴업 및 임금 삭감으로 고정비 부담 대폭 줄어

단협 주기 3년으로 확대, 무쟁의 확약 등 산은 지원 조건도 충족

쌍용자동차 평택공장 전경. ⓒ쌍용자동차

쌍용자동차 노동조합이 사측이 제시한 자구안을 가결시키면서 앞으로 진행 예정인 쌍용차의 새 주인 찾기도 한층 속도를 내게 됐다.


쌍용차 노조는 지난 7일부터 이틀간 자구안 시행 여부를 놓고 진행한 조합원 찬반투표 결과 3224명의 조합원이 참여해 52.1%에 해당하는 1681명 찬성으로 최종 가결됐다고 8일 밝혔다.


자구안의 주요 내용은 ▲무급 휴업 2년 ▲현재 시행중인 임금 삭감 및 복리후생 중단 2년 연장 ▲임원 임금 20% 추가 삭감 ▲단체협약 교섭 주기 현행 2년에서 3년으로 변경 ▲효율적인 인력 운영 및 생산 대응 ▲무쟁의 확약 ▲유휴자산 추가 매각(4개소) 등이다.


인력 구조조정은 자구안에 포함되진 않았으나 무급 휴업과 임금 삭감, 복리후생 중단 등으로 그에 준하는 ‘몸집 줄이기’ 효과를 얻게 됐다는 점에서 쌍용차의 새 주인 찾기는 한층 수월해졌다.


당장 기술직 50%와 사무직 30%가 무급 휴업에 들어가고 임금과 복지비용 등도 감소하면서 기존 대비 인건비가 절반 수준으로 낮아지게 됐다.


여기에 지난해 4월 타결한 단체협약은 2023년 6월까지 재교섭 없이 유효하며, 이때까지 임금도 2019년 당시 삭감된 수준으로 유지된다는 점에서 이른바 ‘노조 리스크’에서도 자유롭게 된다.


이에 따라 쌍용차 인수 희망자들의 투자 부담도 한결 덜었다. 쌍용차 인수 우선협상대상자였던 미국의 자동차 유통업체 HAAH오토모티브의 경우 그동안 지분 매입비용 외에도 쌍용차의 과도한 고정비 지출 부담에 따른 추가 비용투입 가능성을 우려해 인수를 주저해왔던 것으로 알려졌으나, 이번 자구안 통과로 좀 더 적극적인 모습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HAAH는 쌍용차의 회생절차 돌입으로 우선협상권을 잃은 상태지만, 아직 쌍용차에 대한 투자 의향을 철회하지 않았다.


그밖에도 국내 전기버스 제조업체인 에디슨모터스, 전기차 업체 케이팝모터스와 사모펀드 박석전앤컴퍼니 등이 쌍용차 인수 의향을 밝혔고, 중국과 미국 업체도 공개 입찰시 참여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쌍용차는 지난 7일 M&A 추진 및 한영회계법인과 법무법인 세종의 컨소시엄으로 구성된 매각주간사 선정 건에 대해 법원에 허가를 얻었다.


오는 9일부터 킥오프(Kick off) 미팅을 시작으로 매각일정을 논의하는 등 매각절차가 개시되며, 이달 말께 입찰 공고 후 본격적인 M&A 절차가 진행될 예정이다.


한편, 쌍용차는 이번 자구안 통과로 산업은행으로부터 운영자금 등에 필요한 금융지원을 받을 수 있는 명분도 확보하게 됐다.


이동걸 산은 회장은 지난 3월 예병태 전 쌍용차 대표이사와 정일권 노조위원장을 만나 “쌍용차가 ‘생즉사 사즉생’(살려고 하면 죽고, 죽고자 하면 살 것)의 각오로 모든 것을 내려놓고, 선제적으로 최선의 방안을 제시해 투자 유치를 이끌어내달라”고 요구한 바 있다.


이 회장은 특히 쌍용차에 대한 산은의 지원과 관련해 “잠재적 투자자의 투자 결정, 자금조달 능력 확인 및 사업계획에 대한 객관적 타당성이 검증된다면 쌍용차 정상화를 위해 금융지원을 검토할 것”이라며 쌍용차가 스스로 방안을 강구해 채권단에 먼저 제시할 것을 요구했다.


앞서 이 회장은 지난 1월 온라인 간담회에서 쌍용차에 대한 조건부 지원을 언급하면서 “흑자가 나오기 전까지는 일체의 쟁의 행위를 중지하겠다는 약속을 제시해주길 바란다”며 “단체협약을 1년 단위에서 3년 단위로 늘려서 계약해달라”고 말했다.


이같은 조건은 모두 이번에 통과된 쌍용차의 자구안에 포함된 내용들이다. 산은의 수장이 ‘인가 전 M&A’를 언급한 만큼 이를 모두 충족시킨 쌍용차의 지원 요청을 외면하긴 힘들 것이라는 게 업계의 예상이다.


일각에서는 이번 자구안에 인력 구조조정이 포함되지 않은 점을 놓고 다소 미흡하지 않느냐는 지적도 나오지만, 2009년 대량해고 사태를 연상케 하는 인위적 구조조정이 가해질 경우 정권에도 부담이 되는 만큼 금융위원회나 국책은행인 산은이 이를 강요하긴 힘들 것으로 보인다.

박영국 기자 (24pyk@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