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계속 지지층 결집" vs "이젠 중도층 확장"…국민의힘 덮친 '탄핵·대선' 딜레마


입력 2025.02.18 00:20 수정 2025.02.18 00:20        김민석 기자 (kms101@dailian.co.kr)

대규모 '尹 탄핵 반대' 집회에도 與 지지도↓

중도 "정권교체" 커져…전략 교체 필요성↑

외연확장 목소리 속에서 한동훈도 출격 대기

"이재명과 다른 보수색채로 차별화" 주장

지난 15일 오후 광주 동구 금남로와 5·18민주광장 일대에서 윤석열 정권 즉각 퇴진·사회대개혁 광주비상행동 주관으로 열린 제14차 광주시민총궐기대회에서 참석자들이 '윤 대통령 탄핵' 촉구 손팻말을 들어올리고 있다. ⓒ뉴시스

국민의힘이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인용 여부에 따른 조기 대선 전략을 놓고 딜레마에 빠졌다. 윤 대통령을 중심으로 한 지지층 결집 효과가 정체국면에 접어들면서 중도층으로의 확장을 고민해야 한다는 당내 목소리가 나오고 있어서다. 반면 갈지자 행보를 보이는 이재명 대표와 차별화를 할 수 있는 보수의 강인한 면모를 보여줘야 한다는 주장도 계속해서 고개를 들고 있다.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13~14일 무선 자동응답전화(ARS) 방식으로 정당 지지도를 조사한 결과 국민의힘은 41.4%를 기록해, 43.1%로 집계된 더불어민주당에 오차범위(±3.1%p) 내에서 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관의 직전 조사(6~7일) 결과 국민의힘의 지지도가 42.8%였고, 민주당은 40.8%였던 것을 고려하면 한 주 만에 정당 간 지지율이 엇갈려 나타난 것이다. 실제로 국민의힘 지지도는 한 주 만에 1.4%p 하락했고, 같은 기간 민주당 지지도는 2.3%p 상승했다.


문제는 '중도층' 민심이 하향추세라는 점이다. 리얼미터의 이번 조사에서 자신을 중도층이라 답한 응답자 중 국민의힘을 지지한다고 답한 이는 32.8%였다. 이는 직전 조사(6~7일)의 34.6%보다 1.8%p 줄어든 수치다. 중도층에서의 국민의힘 지지도는 지난달 23~24일 42.3%를 기록한 이래 3주 연속 하락한 것이다.


이 같은 결과는 '차기 대선 집권세력 선호도'에서도 두드러져 나타났다. 리얼미터가 같은 기간 조사한 결과 '집권 여당의 정권 연장이 필요하다'는 응답은 44.5%, '야권에 의한 정권 교체를 해야 한다'는 응답은 51.5%로 7.0%p 차를 보였다. 자신을 '중도층'이라고 밝힌 응답자로 좁히면 정권 연장은 38.5%, 정권 교체는 57.8%로 19.3%p 까지 벌어졌다. 여론조사와 관련해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당내에선 이 같은 목소리를 가볍게 여겨서는 안 된다는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다. 민주당과 이재명 대표가 지속해서 강경 발언들을 쏟아내고 '갈지자' 정책 행보를 보이면서 지지율 정체를 겪는 시기에서의 정체인 만큼, 확실한 대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국민의힘 한 의원은 "이념적 행보는 항상 그 끝이 있기 마련이다. 지금까지 지지율 상승세에 우리가 잘해서 그런 것이 아니라는 공감대가 있었다면 이젠 진짜 우리가 잘해야 할 때"라며 "이념이나 진영논리가 아닌 진짜 눈에 보이는 정책을 마련하고, 갈라치기 없는 사회를 만들겠단 걸 보여주는 행보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1973년생 이하 친한동훈계 모임인 '언더73'이 지난 7일 오후 서울 동작구 김영삼도서관을 찾아 김영삼 전 대통령의 차남인 김현철 김영삼대통령기념재단 이사장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왼쪽부터 반시계방향으로 김소희 의원, 류제화 세종시갑 당협위원장, 김상욱 의원, 진종오 의원 ,김예지 의원, 박상수 인천 서구갑 당협위원장, 김준호 전대변인, 김현철김영삼대통령기념재단 이사장, 정혜림 전 부대변인, 신주호 전 부대변인 ⓒ뉴시스

일각에선 당이 윤 대통령 탄핵 인용을 전제로 한 조기 대선에 물밑으로 대비를 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헌법재판소의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가 다음 달 초·중순에 내려질 가능성이 유력하고, 탄핵이 인용될 경우 곧바로 60일의 초단기 대권 레이스에 돌입해야 하기 때문이다.


우재준 국민의힘 의원은 17일 SBS 라디오에 나와 "(탄핵 인용 가능성이) 일정 부분 이상 있다고 보는 게 현실적"이라며 "우리가 대통령을 지켜야 될 의무도 있지만, 반대로 이재명 민주당 대표에게 정권을 넘겨주지 않아야 될 의무도 있다"고 했다.


특히 한동훈 전 대표, 유승민 전 의원 등 '중도층'에 소구력이 있다고 평가받는 대권 잠룡들이 서서히 몸을 움직이고 있는 만큼, 당 차원에서도 중도층 확장을 통해 이들이 함께 갈 수 있는 경선 판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문제는 아직 탄핵심판이 내려지기 전이라는 점이다. 국민의힘은 최근 헌법재판소의 정치적 편향성과 불공정성 등을 주요 공세 대상으로 삼고 있다. 이에 다른 쪽에선 실제 헌재의 결정이 나기 전까지는 지난해 12월 비상계엄 사태 이후 탄핵 정국을 거쳐오는 동안 당이 보인 내홍 수습과 지지층 결집에 힘을 더 보태야 한다는 주장을 내놓기도 했다.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과 권성동 원내대표가 윤 대통령을 면회하고, 헌재를 향해 윤 대통령의 방어권을 보장하라며 절차적 정당성을 문제 삼아온 행보가 적지 않은 성과를 거뒀다는 분석에서다. 실제로 이 같은 지지층 결집 행보는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당시와 달리 응집력을 보이는데 성공했다.


국민의힘 한 관계자는 "중도 확장은 당연한 얘기지만 그동안 지지율이 높게 나온 걸 보수 지지층만이 결집한 것이라고 보면 안 된다"며 "아직 파면 결정이 난 건 아니라는 걸 명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다른 국민의힘 한 의원도 "지지층을 안고 가자는 게 2030을 버리자거나 중도를 외면하자는게 아니지 않느냐"라며 "지금 우리는 자꾸 왔다갔다 하는 이재명 대표와 다르게 선명한 보수 색채를 가진 정책으로 국민들에게 희망을 줘야 하는 모습이 필요한 것"이라고 말했다.

김민석 기자 (kms10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