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권한대행·트럼프 美 대통령 8일 28분간 첫 통화
총리실 "조선·LNG투자·무역균형 패키지로 관세와 협상"
관세 인하 위한 방위비 분담 재협상 가능성엔 "지금 말 못해"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8일 통화를 계기로 미국이 한국에 부과한 고율 관세(25%)에 대한 협상이 시작됐다.
방기선 국무조정실장은 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오랫동안 기다린 한 대행과 트럼프 대통령의 통화가 어젯밤 성사됐고, 전반적으로 우호적인 분위기에서 진행됐다"며 "한 대행이 양국 간 무역 균형과 에너지 관련 경제 협력, 안보 협력, 대북 정책 등 다양한 사안에 대해 말했고 트럼프 대통령도 반응했다"고 전했다.
방 실장은 "정부가 최우선 과제라고 생각하는 것은 통상 리스크"라며 "정상 간 대화가 이뤄졌기 때문에 앞으로 구체적인 대화에 대해 안을 만들어 통상 당국과 사안별로 협상을 시작하도록 하겠다"고 했다.
국무총리실은 전날(8일) 한 대행과 트럼프 대통령과의 통화와 관련해 "한 대행이 조선, LNG(액화천연가스), 무역 균형 등 3대 분야에서 미국과 한 차원 높은 협력을 할 의지가 있다고 강조했다"고 밝혔다. 3대 분야 언급은 한 대행이 먼저했다고 한다.
트럼프 대통령이 방위비 분담금 재협상 의지를 드러낸 것은 우리 정부에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 대행과의 전화 통화가 끝난 직후 자신의 소셜미디어인 트루스소셜에 "우리는 그들(한국)의 막대하고 지속 불가능한 (대미 무역) 흑자, 관세, 조선업, 대규모 미국산 LNG 구매, 알래스카 파이프라인 합작 투자, 우리가 제공하는 대규모 군사 보호에 대한 지불(방위비 분담금)에 대해 이야기했다"고 밝히면서 "'원스톱 쇼핑'(ONE STOP SHOPPING)은 아름답고 효율적인 절차"라고 했다.
트럼프의 언급은 상호관세를 낮추려면 한국이 방위비 분담금을 높여야 한다는 뜻으로 읽히는 가운데 총리실 고위 관계자는 "관세 조정이 최우선 목표"라고 했다.
총리실 고위 관계자는 '정부가 방위비 분담금을 더 내더라도 관세를 낮추는 것을 검토하는가'라는 질문엔 "지금은 구체적으로 말씀드리기 어려울 것 같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관세와 방위비가 패키지라는 것은 아니다"라며 "조선·LNG·무역균형 등 경제통상 관계가 패키지로 엮여서 관세와 협상이 된다고 생각해야 한다"고 했다.
한 대행이 전날 CNN과의 인터뷰에서 중국·일본과 연대해 미국의 관세 부과에 맞대응하지 않겠다고 한 데 대해서는 "중국·일본과 연대를 안 하겠다는 것이 아니라 맞대응을 위한 것이 아니라는 말씀을 한 것"이라고 했다.
북핵과 관련해 어떤 대화가 오갔느냐는 물음에는 "완전한 비핵화에 공감했다"고 답했다. 북러 군사 협력 문제는 언급되지 않았다고 고위 관계자는 전했다.
한미 양국 정상은 전날 오후 9시 3분부터 9시 31분까지 약 28분간 통화를 했다. 지난 1월 트럼프 2기 출범 이후 이뤄진 양국 정상 간 첫 통화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