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동과 결합 개발된 성남 제1공단 근린공원 방문
내달 2일 선대위 출범 앞두고 대장동 의혹 정면돌파
"하위·중간 공직자 등엔 취득 사전심사 제도 도입"
한국갤럽, 55% '李 의도적 개입'…특검 찬성 65%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29일 성남 대장동과 결합 개발된 성남 제1공단 근린공원 조성 현장을 찾아 '고위공직자 부동산 백지신탁제' 등을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대장동 개발 특혜 의혹이 불거진 이후 이 후보가 관련 현장을 찾은 건 이번이 처음이다. 구도심 지역을 과거 대장동 개발과 결합해 당시 개발 이익금 일부로 조성한 제1공단 근린공원은 이 후보와 민주당이 성공적 공공 환수 사례라고 강조하는 곳이다. 내달 2일 선대위 출범과 '1호 공약' 발표 등 본격적인 대권 행보를 앞두고 대장동 의혹을 털어내겠다는 의지로 읽힌다.
이 후보는 이날 현장을 둘러본 뒤 취재진과 만나 부동산 정책과 관련해 "고위공직자들은 필수 부동산 외에는 주식처럼 백지신탁제도를 도입해 다 팔든지, 아니면 위탁해 강제 매각하는 제도를 민주당과 함께 만들겠다"며 "부동산 취득심사제, 백지신탁제, 고위직 승진·임용 배제는 조만간 선대위에서 당 후보의 공식 정책으로 만들 생각"이라고 했다.
그는 "하위·중간 공직자와 도시계획·국토개발계획에 관여할 여지가 있는 공직자에 대해서는 부동산 취득 사전심사 제도를 도입해 꼭 필요한 부동산 외에는 취득하지 못하도록 만들겠다"며 "법률이 만들어지지 않더라도 일정 직급 이상 승진이나 임용 시에는 필수 부동산 외에 부동산을 가진 사람들을 제외하는 정책을 시행하겠다"고 했다.
이 후보는 '너무 과하게 개입하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올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선 "부동산으로 돈 벌겠다고 생각하면 공직자가 아니라 부동산 개발업을 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성남 제1공단 근린공원에 대해선 성남시장 재임 시절 대표적인 치적임을 강조하기도 했다. 이 후보는 "대한민국 역사에 유례없는 대규모 공공 환수 사례 그 자체는 꼭 인정받아야 한다"고 했다. 이 후보가 말하는 5,800억 원의 공공환수이익 중 해당 공원 조성비는 2,762억 원이다. 다만 "공공 환수 과정에서 일부 관련자들의 일탈이 있어 매우 유감스럽고 죄송하게 생각한다"고 했다.
이처럼 이 후보가 대장동 의혹 관련 현장까지 찾으며 정면 돌파 행보를 택한 것은 국정감사에서 판정승을 거뒀다는 평가에도 불구하고 각종 여론조사에서 지지율이 야권 대권주자들과 엎치락뒤치락하고, 대장동 의혹 관련 이 후보의 책임이 크다는 의견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한국갤럽이 지난 26~28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해 이날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표본오차는 95%, 오차범위는 ±3.1%p)에 따르면, 응답자의 55%가 '당시 성남시장이었던 이 후보가 대장동 개발 민간업체(화천대유)에 특혜를 주기 위해 의도적으로 개입했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민간업체에 특혜를 주기 위한 의도는 없었다'는 답변은 30%에 불과했다. '대장동 개발 특혜 의혹에 특별검사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응답률은 65%였다. '그럴 필요 없다'는 25%였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한국갤럽이나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