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 집무실 이전 반대'로 각 세우기
여가부 폐지와 함께 지선 양대 이슈
'반대' 한 목소리 내며 내부결집 모색
'발목 잡기' 비춰질 경우 역풍 가능성
더불어민주당이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집무실 용산 이전 방안에 대해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집무실 이전 문제로 대여 공세의 날을 세우고 내부를 결집해 지방선거를 치르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윤호중 민주당 공동비상대책위원장은 21일 비대위 회의에서 "윤석열 당선인이 국민적인 우려와 반발에도 청와대 용산 이전을 강행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며 "당선 열흘 만에 불통 정권의 본색을 여지없이 드러낸 셈"이라고 주장했다.
윤 위원장은 이어 "국민은 하루하루가 불안하고 고통스러운데 대통령 당선인이라는 분은 새 집 꾸밀 궁리만 하고 있으니 정말 참담하다"며 "이러니까 미국에서는 한국에 'K트럼프가 나섰다'는 말이 떠돌고 항간에는 '레임덕이 아니라 취임덕'에 빠질 것이라는 이야기까지 나오는 게 아니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윤 위원장은 그러면서 "거듭 말하지만 청와대 용산 이전은 민생엔 백해무익하고, 국가안보엔 재앙과도 같은 선택"이라며 "어디에 청와대가 있든, 국민은 일 열심히 하는 대통령을 원한다. 취임하기도 전에 집무실을 옮길 궁리부터 하는 건 국민의 그런 기대를 배반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조응천 비대위원도 "임기 첫날 국민에게 보여드려야 할 것은 용산 집무실이 아니라, 국민께 약속한 2차 추경"이라며 "보여주기식 대통령 집무실 이전 같은 게 아니라 당장 국민이 먹고사는 문제와 국민통합에 꼭 필요한 정치개혁, 그리고 안보 공백 우려를 해소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각을 세웠다.
채이배 비대위원 역시 "국민소통을 위한 집무실 이전이라고 하는데 도대체 누구랑 소통하려는 것인지 상식적으로 이해가 안 간다"며 "집무실 이전을 꼭 하고 싶다면 차기 정부가 할 숙제를 현 정부에 떠넘기지 말고 50일 후 차기 정부에서 하기 바란다"고 말했다.
당내 일각에서는 용산 집무실 이전이 중도층 민심 악화를 불러와 6월 지방선거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기대도 나왔다. 설훈 의원은 이날 CBS 라디오에 출연해 "당선인이 이렇게 밀어붙이는데 중도층에 있는 분들이 과연 잘했다고 할 사람이 있겠느냐"며 "계속 얘기가 나오면 지방선거에 영향이 있지 싶다"고 했다.
하지만 정치권에서는 새 정부에 대한 '발목 잡기'로 비칠 경우, 민주당에 역풍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무엇보다 '대통령 집무실 이전'은 문재인 대통령도 그 필요성을 인정해 공약으로 내세웠던 바 있다.
이현종 문화일보 논설위원은 "지방선거를 앞두고 민주당이 윤석열 정부를 상대로 이슈파이팅을 할 수 있는 것은 집무실 이전 문제와 여성가족부 폐지 등 두 가지 정도"라며 "이 가운데 먼저 집무실 이전 문제에 공세를 집중해 내부를 결집하고 지방선거를 치르겠다는 전략"이라고 풀이했다.
이 위원은 다만 "새 정부가 새롭게 '청와대를 국민께 돌려드리겠다'는 취지에서 벌이는 일을 반대만 할 경우 여론은 호의적이지 않을 것"이라며 "경부고속도로나 청계천 건설 등 긍정적 효과를 봤던 과거 사례가 있듯이 집무실 이전 반대를 전면적으로 내세운다면 민주당이 역풍을 맞을 수 있다"고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