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 규모 1년 새 8조 넘게 불어
관련 연체율 최대 0.21%p 상승
5대 지방은행이 기업에 내준 대출 규모가 1년 새 10조원 가까이 불어나면서 115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와중 기업대출의 연체율이 꿈틀거리기 시작하면서 지방은행들의 자산건전성 관리 부담이 확대되는 분위기다.
특히 지방은행들이 기업대출 중심의 사업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어 부실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금융당국의 중소기업 지원 정책이 종료된 이후까지 대비해야 한다는 점은 어깨를 더욱 무겁게 만들 것으로 보인다.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BNK부산·BNK경남·DGB대구·광주·전북은행 등 5개 지방은행의 지난해 말 기준 기업 대출금은 115조734억원으로 전년 말 대비 7.51%(8조410억원) 늘었다.
은행별로 살펴보면 부산은행의 기업대출 증가율이 10.2%로 가장 높았다. 이어 ▲광주은행(8.66%) ▲경남은행(7.40%) ▲전북은행(7.07%) ▲대구은행(4.44%) 순으로 증가세가 가팔랐다.
문제는 일부 지방은행에서 대출 연체율이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다는 점이다. 대구은행의 지난해 말 기업대출 연체율은 0.50%로 전분기 대비 0.21%포인트(p)나 상승했다. 부산은행도 0.26%로, 경남은행도 0.33%로 같은 기간 각각 0.04%p와 0.03%p씩 기업대출 연체율이 올랐다.
반면 전북은행은 0.42%로, 광주은행은 0.26%로 각각 0.07%p와 0.02%p씩 기업대출 연체율이 낮아졌다. 이들의 경우 2015년부터 위험가중치가 높은 중소기업 대출을 줄이고, 중도금대출 위주로 취급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기업대출 연체율에 균열이 가고 있는 배경에는 지난해 가파르게 인상된 금리가 자리하고 있다. 이로 인해 기업들의 이자 부담이 커지면서 대출 건전성에 악영향을 주고 있다는 해석이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5대 지방은행의 중소기업 신용대출 평균금리는 6.32~8.61%로, 전년 말(3.94~5.84%)보다 상단과 하단이 각각 2.77%p, 2.38%p 높아졌다. 지난해 초까지만 해도 1%대였던 기준금리가 3%대까지 치솟으면서 기업 대출금리도 함께 인상된 영향이다.
특히 지방은행들은 산업단지가 위치한 거점 지역에 사업 기반을 두고 있어, 기업 대출에서 중소기업 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 이에 경기에 민감한 중소기업들의 대출 연체가 증가하면서 지방은행들의 건전성 부담도 덩달아 커지고 있는 것이다.
실제 5대 지방은행의 지난해 4분기 말 기준 전체 원화대출금 가운데 중소기업 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50~62%에 달한다. 경남은행이 62%로 가장 높고, 부산은행(61%), 대구은행(57%), 광주은행(56%), 전북은행(50%) 순으로 뒤를 잇고 있다.
아울러 지방은행들은 금융당국의 소상공인과 중소기업 만기연장·상환유예 지원 정책이 종료되는 시점에 부실이 확대될 가능성에도 대비해야 한다. 당국은 2020년 4월부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으로 타격을 입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들의 대출 만기연장과 원금·이자 상환을 유예해주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연장된 만기가 서서히 풀릴 것에 대비해 지방은행들도 조금씩 충당금을 쌓아나갈 필요성이 있을 것"이라며 "만기가 한꺼번에 터지지는 않을 것이기 때문에 회사 실적에 반영되는 영향은 적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만기연장이 종료되는 시점까지 경기가 일부 회복될 수도 있고, 현재 높은 수준의 금리가 안정화 돼 지금처럼 유동성이 타이트하지 않을 수도 있다"며 "만기연장 종료 시점까지는 여러 옵션이 있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