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韓 위성 발사 일정 고려해
10월 발사 모색할 가능성
각종 정치·군사 일정 '빼곡'
일대일로 정상포럼 전후 가능성
북한이 예고대로 이달 중 군사정찰위성 3차 발사에 나설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구체적 시점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이번 달과 다음 달 각종 정치·군사 일정이 연이어 예정된 만큼, 북한도 최적의 타이밍을 고심할 거란 관측이다.
홍민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6일 경기도 파주에서 연구원이 개최한 '한반도 주요 현안 워크숍'에서 광학카메라, 송수신 체계 등을 언급하면서 "북한 위성의 여러 가지 능력이 현격히 떨어지는 것으로 보인다"며 기술적 측면보다 정치적 목적 달성을 위해 위성 발사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북한은 한미 워싱턴선언(4월26일) 한 달여 뒤이자,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5월19~21일) 10일 후 1차 발사(5월31일)를 감행했다. 2차 발사(8월24일) 역시 한미일 캠프 데이비드 정상회의(8월18일), 을지 자유의 방패 훈련 개시(8월22일) 이후 이뤄졌다는 점에서 "북한이 한반도 정세 관련 주요 일정을 충분히 고려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같은 맥락에서 북한은 항저우 아시안게임 폐막식이 진행되는 8일까지 우방국 중국을 고려해 군사행동을 자제할 것으로 관측된다.
폐막식 이후에는 북한 노동당 창건일(10일), 중러 정상회담 등 굵직한 정치 일정이 두루 예고돼 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오는 17일 베이징에서 개막하는 '일대일로 정상포럼'을 계기로 정상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특히 다음달 23일께 우리나라가 미국 캘리포니아주 반덴버그 공군기지에서 정찰위성 1호기 발사에 나설 예정인 만큼, 북한이 이를 의식할 가능성이 높다는 평가다.
홍 선임연구위원은 "북한이 위성 2차 발사 실패 이후 10월 3차 발사를 바로 예고한 것은 기술적 자신감을 나름대로 표현하고 싶은 부분도 있을 것"이라면서도 "한국 (위성) 발사 계획을 상당히 경쟁적으로 고려하는 부분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북한이 10월 발사 예고에 맞출 경우, 10일에서 26일 사이에 3차 발사 가능성이 있다"며 "일대일로 정상포럼이 개최되는 17일 전후 가능성이 높지 않을까 한다"고 밝혔다.
러시아 지원 여부 주목
"발사체보단 위성체"
북한의 3차 위성과 관련해선 러시아 '그림자' 포착 여부도 주요 관전 포인트라는 평가다.
앞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러시아 아무르주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정상회담을 갖고 위성 관련 협력 가능성을 시사한 바 있다.
홍 선임연구위원은 김 위원장 방러 첫 행보가 우주기지였다며 "푸틴 대통령도 우주 관련 지원 의사를 간접적으로 밝혔다. 그 수준을 가늠하기 어렵지만 (지원이) 이뤄질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발사체보다는 위성체 분야 지원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발사체 기술의 경우,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에 전용될 수 있어 러시아가 거리를 두려 할 수 있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홍 선임연구위원은 "위성체 분야는 북한이 상당 부분 접근이 어렵다"며 "송수신 체계, 광학카메라, 조종 및 운용 능력이 굉장히 필요할 것"이라고 밝혔다.
일반 위성과 달리, '보고 싶은 곳'을 들여다보기 위해선 위성체 내 연료를 추진시켜 각도를 변화시키는 기술 등이 필수적이지만, 러시아 지원 없이 관련 기술력을 확보하긴 어려울 거란 지적이다.
일각에선 러시아가 국제사회 대북제재를 고려해 '티 안 나는 지원'에 나설 거란 관측도 나온다.
현승수 통일연구원 연구위원은 북한 '영토' 반경이 짧은 탓에 위성과 지상 간 데이터 송수신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며 "러시아가 자국 내 데이터 기지와의 링크(연계)를 제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제재가 엄중한 상황에서 러시아가 눈치를 보고 있다"며 "(제재를) 무시하거나 비공식적 차원에서 (러시아·북한) 기술자가 왔다 갔다 할 수 있지만 쉽지 않을 거라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미국 등이 (북러 사이에) 어떤 기술이 오갔는지 추측하겠지만 공개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