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산업진흥원, 2023년 보건산업 수출 실적 발표
보건산업 수출 218억 달러…4분기 수출 플러스 전환
지난해 보건산업 수출이 전년 대비 1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격적인 코로나 엔데믹 전환으로 인해 백신(CMO) 및 체외 진단기기 수출이 줄었기 때문이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4일 2023년 의약품·의료기기·화장품 등 보건산업 수출 실적을 발표했다. 실적에 따르면 2023년 보건산업 수출액은 총 218억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 감소했다.
분야별로는 화장품 85억 달러(6.4%), 의약품 76억 달러(-6.5%), 의료기기 58억 달러(-29.5%) 순으로 수출 실적이 높게 집계됐다.
2023년 의약품 수출은 바이오의약품 수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백신 수출의 감소로 전년 대비 6.5% 감소한 76억 달러를 기록했다.
국가별로 보면 미국(10억3000만 달러, 4.2%), 일본(8억2000만 달러, 6.1%), 독일(6억 달러, 18.8%) 등 순으로 수출이 높았다. 상위 20개국 수출이 전체 의약품 수출의 82.6%를 차지했다.
품목별로 보면 바이오의약품(39억 달러, 7.6%), 기타의 조제용약(6억6000만 달러, -6.0%), 원료 기타(5억3000만 달러, -16.5%) 독소류 및 톡소이드류(3억1000만 달러, 37.6%) 순으로 수출 비중이 높았다.
2023년 의료기기 수출은 임플란트와 초음파 영상진단기기 등이 포함된 일반 의료기기의 수출은 증가(49억9000만 달러, 2.8%)했다. 다만 체외 진단기기 수출이 급감해 전년 대비 29.5% 감소한 58억 달러를 기록했다.
화장품 수출은 85억 달러로 중국 이외 지역의 화장품 수출이 크게 증가해 전년 대비 6.4% 늘었다.
이병관 바이오헬스혁신기획단장은 “보건산업은 높은 고용 및 부가가치 창출 효과로 인해 미래 유망산업으로 인식되고 있다”며 “이러한 보건산업이 우리나라의 수출 활성화에 선도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보건산업 수출 촉진 및 정부 바이오헬스 정책지원에 진흥원도 노력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