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집값 회복, 지방은 ‘먼 얘기’…쌓이는 미분양에 ‘악전고투’


입력 2024.07.23 06:29 수정 2024.07.23 06:29        배수람 기자 (bae@dailian.co.kr)

아파트값 서울은 오르고 지방은 떨어지고, 정반대 행보

미분양 8할은 지방에…중소건설업체 줄줄이 폐업

지방 주택시장 정상화 위한 규제 완화 절실

서울·수도권 일대 부동산시장 매수심리가 살아나며 집값이 차츰 회복세를 보이는 모습이다.ⓒ뉴시스

서울·수도권 일대 부동산시장 매수심리가 살아나며 집값이 차츰 회복세를 보이는 모습이다. 반면 지방은 찬 바람이 여전하다.


하반기 금리 인하 기대감은커녕 쌓인 미분양이 해소되지 않으면서 지방을 중심으로 주택사업을 추진하는 중소 건설업체들의 표정도 암울하다.


23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 상반기 서울 아파트값은 0.55% 상승하며 전국 광역지자체 가운데 가장 큰 상승폭을 나타냈다. 지방은 같은 기간 0.96% 떨어졌다. 전국 아파트값은 0.65%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방에선 입주물량 적체가 심한 세종시의 낙폭이 가장 두드러졌다. 올 상반기 세종 아파트값은 4.85% 크게 떨어졌다. 미분양 적체가 심한 대구는 같은 기준 2.56%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 아파트값이 상승세를 지속하면서 지방과의 격차는 점점 더 벌어지는 모양새다. 이달 15일 기준 서울 아파트값은 일주일 전 대비 0.28% 오르며 17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수도권 아파트값(0.13%)은 9주째 상승세다. 이와 달리 지방(-0.04%)은 같은 기준 낙폭이 더 커졌다.


이처럼 부동산시장 분위기가 정반대 흐름을 보이면서 지방을 중심으로 주택사업을 추진하는 주택업체들의 상황은 더 심각하다. 전반적인 건설경기 침체로 주택사업 수익성이 악화한 데다 대부분 현장에서 미분양을 떠안고 있어서다. 대형 건설사 대비 상대적으로 매출 의존도가 높아 체질 개선도 쉽지 않다. 문을 닫은 업체들도 늘어나는 추세다.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KISCON)에 따르면 올 상반기 전국 종합·전문건설업체의 폐업신고(변경·정정·철회) 건수는 총 1809건으로 지난해 상반기(1794건) 대비 0.83% 증가했다.


해당 기간 수도권 소재 종합·전문건설업체의 폐업신고는 726건으로 1년 전 대비 4.85% 줄어든 반면, 5대 광역시(295건)는 10.90%, 기타지방(788건)은 3.01% 각각 늘었다.


한 중견건설사 관계자는 “지방에선 아파트를 지을수록 마이너스다. 어차피 똑같은 자재를 사용하니 서울이라 공사비가 비싸고 지방으로 갈수록 공사비가 저렴해지는 게 아니지 않냐”며 “공사비는 공사비대로 오르고, 분양은 안 되니 차라리 사업을 하지 않는 편이 더 이득인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5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7만2129가구로 한 달 전보다 0.2% 늘었고,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은 1만3230가구로 같은 기간 2.0% 증가했다. 전체 미분양 물량 중 79.5%(5만7368가구)가, 전체 악성 미분양 물량의 81.7%(1만806가구)가 지방에 집중돼 있다.


정부는 최근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성 평가를 완료하고 사업성이 낮은 곳을 중심으로 재구조화 작업에 나설 예정이라고 밝혔다. 지난 18일 기준 약 24조원의 PF 대출보증이 집행되는 등 정상사업장에 대한 유동성 지원도 이뤄지고 있다.


업계에선 부동산 PF 사업 정상화를 위한 각종 금융지원 확대 등도 중요하지만, 서울로의 쏠림현상이 심화하는 만큼 지방 주택시장 침체 분위기를 해소할 만한 규제 완화 및 제도 보완이 절실하다고 입을 모은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서울, 그중에서도 강남 3구, 마용성 등 핵심 입지로 수요가 집중되면서 지방에 거점을 둔 건설업체들은 벼랑 끝으로 내몰린 상황”이라며 “지방은 앞으로 미분양 물량이 한동안 더 늘어날 것. 지방으로 수요를 옮겨올 수 없다면 지방 주택에 한해서 다주택자에 대한 규제를 대폭 풀어주는 등 전향적인 자세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효선 NH농협은행 부동산수석위원은 “최근 서울 일부 지역의 과열현상은 아파트 쏠림현상이 심각해서 오는 부분이 있다”며 “공급이 장기적인 변수라면 수요와 관련된 정책은 비교적 단기간에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미분양 지역의 공급 과잉 해소를 위한 세제 완화 등이 병행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배수람 기자 (ba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