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4일 협의체 가동, “가격 안정화될 때까지 수차례 운영”
시멘트 업계 “출하량 13% 감소…전기료 올라 원가부담 확대”
정부 “유연탄 가격 안정화…가격 인하 여지 충분”
시멘트 가격을 둘러싸고 시멘트와 레미콘·건설 업계 간 입장이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이에 정부가 나서 업계와 관계부처 간 논의를 위한 민관 협의체를 가동 중인데, 가격 타협점을 찾을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30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 2일 발표한 ‘건설공사비 안정화 방안’의 일환으로 건설자재 수급 안정화를 위한 민·관 협의체를 가동한 상황이다. 이달 14일 1차 회의를 진행했고, 다음 달 초 차기 회의가 열릴 것으로 보인다.
협의체에서 다루는 내용은 바로 시멘트 가격이다. 시멘트 가격 인상률이 공사비 인상폭을 크게 상회해서다.
건설공사비 지수가 2020년 100에서 올해 7월 129.96으로 약 30% 오르는 동안 시멘트 가격은 1t 당 7만5000원에서 지난해 7월 11만2000원으로 49.3% 올랐다.
국토부 관계자는 “협의체는 가격이 안정화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운영된다”며 “이르면 다음 달 초 2차 회의를 시작으로 한 달 동안 수차례 열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시멘트협회에 따르면 올해 1~3분기 시멘트 출하량(내수)은 3222만t으로 1년 전(3698만t) 대비 약 13% 감소했다.
올해 연말까지 예상되는 내수 총출하량은 4400만t으로 지난해(5024만t)에 비해 12.4%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최근 10년간 출하량 중 최저치다.
건설경기가 침체가 장기화되며 시멘트 수요가 급감한 것이다. 이에 따라 시멘트 업계에서는 올해 하반기를 기점으로 매출과 영업이익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물론 앞선 상반기에는 지난해 가격 인상 등의 효과로 쌍용C&E, 성신양회, 삼표시멘트, 한일시멘트, 아세아시멘트 등 5개 시멘트 업체들의 영업이익률이 평균 13.2%를 기록한 바 있다. 무려 지난해 상반기(8.4%) 대비 4.8%p나 뛴 수치다.
그러나 시멘트 출하량 자체가 줄어들면서 하반기에는 실적 악화에 직면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실제로 일부 시멘트 공장에서는 생산량 감축을 위해 생산설비 가동을 일부 중단한 것으로 파악된다.
원가부담은 더 확대되고 있다. 시멘트 생산 시 30%가량을 차지하는 전기요금이 10.2% 올라서다. 지난 24일부터 산업용(을) 전기요금은 ㎾h당 165.8원에서 182.7원으로 16.9원 인상됐다.
친환경 관련 설비 투자액도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시멘트 업계의 투자액은 2020년 3429억원에서 올해 6076억원으로 뛰었다.
향후 질소산화물(NOx)을 줄이는 선택적 촉매 환원장치(SCR) 설치 비용까지 더해지면 시멘트 업계의 투자비는 1조원, 운영비는 연간 7000억원이 추가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시멘트 업계 관계자는 “더이상 가격을 내릴 수 있는 여건이 되지 않는다. 오히려 환경 규제 등에 대해 정부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개선됐던 상반기 실적도 하반기에는 매출 감소로 악화될 것이다. 매출 손실폭이 커지는데 시멘트 회사가 이를 감수하면서까지 가격을 내릴 수는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미 생산설비 일부를 중단한 곳들이 있는데, 출하량 감소 등으로 오히려 생산설비 가동을 중단하는 곳들이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반면 정부는 시멘트 제조 공정에서 연료로 사용되는 유연탄 가격이 떨어진 만큼 가격 인하 여지가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지난 2022년 3월 1t당 246.02달러로 정점을 찍은 유연탄 가격은 지난 7월 90.02달러로 안정화된 상태다.
여기에 시멘트 업계의 애로사항을 해소하는 방향으로 간접적인 지원을 통해 가격 인하를 타결해보겠다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시멘트 수입 지원 방안을 건설공사비 안정화 방안으로 발표한 것도 가격 인하를 압박하기 위한 수단으로 보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에는 가격을 포함해 시멘트 업계가 건의했던 환경규제, 설비 지원, 유통 등 애로사항을 함께 고민하는 자리이기 때문에 논의가 폭넓게 이뤄지고 있다”며 ”단기간 내 결론이 나오기는 어렵겠지만 모두가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 보겠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