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노사 2차 중노위 조정도 결렬
노조, 조합원 대항 파업 찬반 투표 앞둬
여러 악재 겹친 상황, 파업 리스크까지
포스코가 창사 56년 이래 첫 파업을 마주할 위기에 놓였다. 철강 시황 악화로 공장 폐쇄를 결정하는 등 여러 악재에 더해 노조의 파업 위기까지 직면하면서 경영 리스크가 커지는 모습이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 노사는 지난 21일 중앙노동위원회 2차 조정회의를 진행했지만 협상이 최종 결렬됐다. 노조는 기본임금 8.3% 인상과 조합원만을 위한 혜택 등을 요구했지만 회사 측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중노위는 양측의 이견이 크다고 보고 조정 중지를 결정했다.
노조는 이날 노조원을 대상으로 쟁의 행위 찬반 투표를 진행한다. 이번 투표에서 찬성이 과반을 넘기면 노조는 합법적 ‘파업권’을 확보하게 된다. 노조가 본격적인 파업에 나서면 포스코 창립이후 첫 파업이 된다.
포스코는 지난해 임단협 첫 결렬 여파로 중앙노동위원회 2차 조정회의를 거쳐 극적으로 잠정합의안 도출해 파업 위기를 가까스로 넘긴 바 있다. 올해도 극적 타결에 이를 것이란 분석이 나오지만 사상 첫 파업에 대한 가능성도 높게 점쳐지고 있다.
이번 파업이 현실화 할 경우 포스코에는 대내외적인 경영 리스크가 더 추가되는 셈이다. 실제 포스코는 철강 업황 부진으로 실적이 악화한 상황에서 일부 공장 폐쇠를 결정했다. 여기에 더해 최근 제철소 내부의 화재 사고 등 각종 리스크에 시름이 깊어진 상황이다.
포스코는 올 3분기 철강 부문 영업이익 4660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8530억원보다 45.4% 급감했다. 저가 중국산 철강재 유입 및 전방산업 부진 등 철강 시황 악화가 해소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전방 산업에 활력을 줄 것으로 기대를 모았던 중국의 경기 부양책도 미미한 상황이다.
지난 19일에는 45년 9개월 간 가동해온 포항제철소 1선재공장 폐쇄를 결정했다. 지난 7월 포항 1제강공장 셧다운에 이어 두 번째다. 폐쇄는 최근 글로벌 철강공급 과잉현상 지속 현상과 해외 저가 철강재의 공세, 설비 노후화 등의 영향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포스코가 내린 결정이다.
사업장 내에서 연이은 화재가 발생해 안전관리 의식이 도마에 오른 상황이다. 전날 오후 11시 18분께 포항제철소 3파이넥스에서는 큰 폭발음과 함께 화재가 발생했다. 지난 10일 발생한 화재에서 복구돼 재가동된 지 5일 만이다. 앞선 화재로 일부 시설에 피해가 발생해 이를 복구하고 공장을 정리하기까지 쇳물 생산이 중단되기도 했다.
도널드 트럼프의 미국 백악관 탈환도 또 하나의 리스크다. 트럼프 당선인은 자국 우선주의에 기반해 철강 수입 규제 강화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 고관세 부과나 현 쿼터 조정 카드를 꺼낼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대내외적인 여러 악재가 겹친 상황에서 노조 리스크까지 불거지면 위기 타개를 위한 동력을 상실할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업계 한 관계자는 "상황을 바꿔보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는데, 여러 악재가 겹치면서 반등을 위한 힘을 잃게 될 것"이라면서 "큰 위기를 맞은 철강사들이 모두 힘을 합쳐야 하는 상황인데, 부담을 덜 수 있는 상황이 나오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회사 관계자는 이에 대해 "조정중지 결정 후에도 노조와 지속적으로 대화를 이어갈 계획이며, 임금교섭 타결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