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대출규제에도 금리 인하·공급 부족이 집값 자극
입주 물량 부족으로 전셋값도 상승, 거래량은 63만건 예측
내년까지 4년간 50만가구 주택 부족 누적
내년 전국 집값이 3~4월까지는 약세를 보이다 이후 상승세로 전환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탄핵 정국으로 인한 정치적 불확실성이 주택 시장에 미칠 영향도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19일 주택산업연구원은 대한상공회의소에서 ‘내년 주택시장 전망과 정책방향’을 주제로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주산연은 내년 집값이 전국적으로는 0.5% 하락하지만 서울은 1.7%, 수도권은 0.8%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다.
경기침체와 강력한 대출규제를 비롯해 탄핵 정국으로 인한 불확실성이 집값 하락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지만, 금리가 하향조정과 주택시장 진입인구 증가, 공급 부족 등이 서울 등에서 집값 상승을 부추길 것이라는 분석이다.
주산연은 “내년 상반기 중 경기침체는 가속화되고 비정상적인 주택담보대출 대출규제도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면서도 “30대의 주택시장 진입 인구 급증과 금리하향 조정, 주담대 및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정상화 등으로 중반기 이후부터는 해빙무드로 돌아설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전셋값은 입주물량 부족으로 전국 1.2%, 수도권 1.9%, 서울 1.7%, 지방 0.1%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아파트는 물론 비아파트 입주물량이 감소하면서 전월세 가격이 상승한다는 설명이다. 전셋값 상승 시 향후 매매가격 상승으로 전이될 가능성도 거론된다.
월셋값 역시 지난해 7월 저점을 찍은 뒤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입주물량 부족이 지속되는 동안 상승세를 꾸준히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내년 주택 거래량은 올해와 비슷한 63만건 안팎으로 전망했다. 이는 전체 주택재고의 3.1% 수준이지만, 정상 거래시기(90만가구 내외)에 비해서는 70% 수준에 불과하다.
주택공급은 수요에 충분히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부 추산 기준으로 연평균 45만가구 내외의 수요가 발생하고 있지만, 내년 말까지 4년 동안 50만여가구의 공급 부족이 누적될 것으로 전망했다.
구체적으로 내년 인허가 물량은 올해 35만여가구보다 5.7% 감소한 33만가구, 착공은 공공부문 물량 증가에 따라 올해 26만여가구 15.4% 보다 늘어난 30만가구로 예측된다.
분양은 올해 23만여가구보다 8.7% 늘어난 25만가구, 준공은 44만여가구 대비 25.0% 감소한 33만가구로 예상된다.
주산연은 “투기를 막는다며 실수요자 부담만 늘리고 공급을 위축시키는 비정상적인 주택금융 관련 규제를 정상화해야 한다”며 “민간공급을 위축시키는 건축비 문제와 PF 경색, 과도한 기부채납을 신속히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공공택지 개발절차를 단축해 3기 신도시에서 주택공급이 하루 빨리 이뤄지게 하는 데 중점을 둬야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