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도심복합사업, 4년 만에 가시화…본격적인 ‘드라이브’ 걸리나


입력 2025.02.13 06:00 수정 2025.02.13 08:03        배수람 기자 (bae@dailian.co.kr)

두산건설, 방학역 수주…‘도심복합사업 첫 시공사’ 타이틀

‘쌍문역 동측’ 시공사 선정 초읽기…‘연신내역’ 재공모 진행

“시장 불확실성 속 리스크 적어…전국 활성화는 글쎄”

문재인 정부 시절 도입된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도심복합사업)이 4년간 지지부진한 끝에 처음 가시적인 성과를 거뒀다.ⓒ데일리안DB

문재인 정부 시절 도입됐지만 그동안 지지부진했던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도심복합사업)이 최근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면서 이목이 쏠리고 있다.


서울 도심 내 후보지 가운데 최초 사업 승인을 완료한 방학역 일대가 두산건설을 시공사로 선정하면서다. 함께 시공사 선정 절차에 돌입한 쌍문역 동측 역시 두산건설의 수주가 유력시되는 가운데 전반적인 사업 탄력 마중물로 작용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13일 LH 등에 따르면 최근 두산건설은 도봉구 방학역 도심복합사업 복합사업참여자(시공사)로 선정됐다. 지난달 주민대표회의 의결을 거쳐 최종 수주 깃발을 꽂으면서 ‘1호 사업지 수주’라는 상징성도 챙기게 됐다.


사업 시행을 맡은 LH는 조만간 두산건설과 시공 계약을 맺고 본격적인 이주 및 착공 준비에 돌입한다는 계획이다.


또 도봉구 쌍문역 동측 사업지 역시 시공사 선정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오는 15일 이곳 사업지 주민대표회의는 단독 입찰한 두산건설을 시공사로 산정하는 안건을 상정해 의결할 예정이다.


시장에선 큰 이변 없이 두산건설이 시공권을 따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지난 2021년 2·4대책으로 마련된 도심복합사업은 사업성이 부족하거나 주민 갈등 등으로 일반적인 정비사업 추진이 어려운 노후·저층 주거지를 대상으로 LH 등 공공이 소유권을 넘겨받아 정비사업을 수행하는 주택공급 모델이다.


공공 주도로 이뤄지는 만큼 신속한 인허가가 가능하고 사업 추진 시 용적률 상향 등 인센티브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주민 재산권 침해 등 논란이 끊이지 않으면서 장기간 부침을 겪었다.


사업 추진 4년 만에 시공사 선정 사업지가 나오면서 나머지 도심복합사업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방학역, 쌍문역 동측 사업지와 함께 시공사 선정 입찰에 나섰으나 번번이 고배를 마신 연신내역 후보지는 지난달 말 3차 재공모에 나섰다. 1~2차 공모 당시 무응찰로 마무리됐으나, 3차 공모에선 보미건설이 단독 응찰하면서 시공사 선정 가능성을 엿봤다.


LH는 3차 공모와 동일한 조건으로 재공고를 낸 상태다. 건설업계에 따르면 이번 3차 재공모에는 도급순위 30위권 내외 건설사 3곳 정도가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전해진다.


앞으로 LH는 신길2구역, 증산4구역, 쌍문역 서측 등 서울 도심 내 나머지 도심복합사업 인허가에도 속도를 낸단 방침이다. 이들 3곳은 지난해 12월 서울시 사업승인을 거쳐 연내 주민 협의를 통해 시공사 선정 절차에 착수할 것으로 보인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공공주택사업은 민간사업 대비 수익성은 떨어지지만 지금처럼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선 리스크가 적고 비교적 안정적으로 마진을 남길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며 “LH가 입찰 참여 조건을 완화하고 공사비도 일정 부분 상향 조정한 것이 건설사들의 참여를 유도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다만 여전히 주민 갈등을 빚는 사업지들이 적지 않아 전국적으로 도심복합사업이 왕성하게 추진되긴 힘들 것”이라며 “그나마 진행이 되는 사업들은 서울 도심과 역세권 입지 등 특장점을 갖췄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배수람 기자 (ba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