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내달, 또는 그 전에 자동차·반도체·의약품 등에 대해 관세를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자동차 관세를 4월2일쯤 내놓을 것이라는 그의 이전 발언보다 시점이 더 빨라진 것이다.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19일(현지시간) 미 플로리다주 마이애미에서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 주최로 열린 '미래투자 이니셔티브(FII) 프라이오리티 서밋' 연설을 통해 "다음 달, 혹은 그 전에 자동차·반도체·의약품 등에 대해 관세를 발표할 예정"이라며 "미국에 큰 영향을 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앞서 전날에도 자동차·반도체·의약품에 대한 관세부과 계획을 확인하며 "25%에 근접할 것"이라고 말했다. 25% 관세부과가 현실화하면 자동차·반도체 수출이 버팀목 역할을 해온 한국 경제에 큰 타격이 예상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와 같은 많은 사람들이 미국에서 훌륭한 자동차를 생산하게 될 것이라며 "자동차 제조회사 3곳이 나에게 전화를 걸어와 ‘우리는 (생산기지를 지을) 모든 곳을 찾고 있다’ ‘거기에 있고 싶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그의 이같은 언급은 실제로 자동차에 대한 관세 부과가 있기 전까지 각 정부 또는 기업과 협상을 거쳐 유예하거나 속도 조절을 할 수 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들이 미국에서 제품을 만들지 않으면, 간단히 말해 관세를 내야 한다는 것"이라며 "그들이 미국에서 제품을 만들면 그들은 관세를 물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이어 관세가 "미국 재정에 수조 달러를 가져올 것"이라며 관세가 대미 투자 확대로도 연결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와 함께 유럽연합(EU)의 부가가치세(VAT) 부과에 대해 "외부 사람들이 자동차를 판매하기 어렵게 만드는 파괴적인 행위"라며 "그들은 비금전적인 관세도 매우 강하게 부과하기 때문에 매우 불공평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밖에 조 바이든 직전 대통령 시절에 유가안정을 위해 방출했던 전략 비축유를 신속히 채울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자신이 지난달 취임한 뒤 불법 이민자 단속 및 추방에서 거둔 성과를 거론한 뒤 "유럽과 다른 나라들도 그것을 시작해야 한다"고 촉구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