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오세훈 "지하철 요금 3월 인상 차질…한두 달 늦춰질 듯"


입력 2025.02.21 17:41 수정 2025.02.21 17:42        허찬영 기자 (hcy@dailian.co.kr)

"지하철 맞물려 있는 경기도서 인상안 통과 안 돼 차질 생겨"

올해 3월 지하철 요금 150원 추가 인상하려 했으나 미뤄져

기후동행카드로 인한 적자 문제엔 "복지 차원서 해결해야"

21일 서울시의회 제328회 임시회 시정질문에서 답변하는 오세훈 시장.ⓒ서울시 제공

서울 지하철 요금 인상이 올해 3월로 예정돼 있었던 가운데 오세훈 서울시장은 "차질이 생겼다. 요금 인상 시기가 한두 달 늦춰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21일 서울시의회 제328회 임시회 시정질문에서 3월에 지하철 요금이 인상되느냐는 박수빈(더불어민주당·강북4) 의원의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오 시장은 "지하철의 경우 서울시, 경기도, 인천시, 코레일(한국철도공사)이 맞물려 있어 인상안이 경기도의회를 통과해야 하는데 어제 통과가 안 됐다고 한다"고 말했다.


경기도의회는 지난 20일 열린 임시회 마지막 본회의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제출해 상임위원회를 통과한 11개 안건을 전부 올리지 않았다. 미상정 안건에는 철도 요금을 150원 인상하는 내용의 '도시철도 운임범위 조정에 대한 도의회 의견청취안'도 포함됐다.


시는 2023년 10월 7일부터 지하철 기본요금을 150원(1250원→1400원) 인상했다. 당시 시는 지하철 요금은 2번에 걸쳐 올리겠다며 150원 추가 인상 시점을 2024년으로 미뤘으나 정부의 물가안정 기조에 실제 인상은 이뤄지지 않았다.


이후 경기도·인천시, 코레일은 올해 3월쯤 지하철 요금을 150원 추가 인상(1400원→1550원)하기로 뜻을 모았으나 경기도의회에서 인상안이 통과되지 못한 것이다.


이날 오 시장은 기후동행카드 확대로 서울교통공사 적자 문제가 심각하다는 박 의원의 지적에 "적어도 교통비 문제만큼은 복지 차원에서 해결해야 한다는 판단"이라며 "적자 문제는 가슴이 아프지만, 다른 정책과는 차별화된 입장을 견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기후동행카드로 생기는 적자는 1년에 1800억원가량으로 알려졌다. 서울시가 절반인 900억원을, 나머지 900억원은 서울교통공사가 부담하고 있다.

허찬영 기자 (hcy@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