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권리당원 투표와 일반 국민 여론조사를 병행해 대선 후보를 선출한다.
12일 복수의 민주당 관계자에 따르면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는 이날 권리당원 투표 50%와 일반 국민 여론조사 50%로 대선 후보를 선출하는 내용으로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선출에 관한 특별당규’를 제정하기로 결정했다.
국민 여론을 수렴하는 방식으로는 선거인단 투표가 아닌, 일반 여론조사를 택했다. 선거인단 모집의 경우 특정 종교 등 외부 세력이 개입해 조직적인 ‘역선택’을 할 가능성이 있다는 당내 우려가 제기된 데 따른 것이다.
당규준비위는 이날 오후 열린 비공개 최고위원회와 의원총회에 특별당규 내용을 보고하고, 최고위는 당무위원회와 중앙위원회를 소집해 특별당규 제정 절차를 마무리한다.
다만 비명(비이재명)계는 이재명 예비후보가 대표 시절 당권을 장악하고 있었다는 점을 들며 당원과 일반 국민을 구별하지 않는 완전국민경선(오픈 프라이머리) 방식을 요구해왔다.
실제 이날 김동연 경기지사 측은 당규준비위의 이 같은 결정에 입장문을 내고 “국민선거인단 없는 무늬만 경선‘에 단호히 반대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 지사 측은 “이번 발표는 노무현, 문재인 대통령을 만들어낸 민주당의 자랑스러운 국민경선 원칙을 파괴하지 말아 달라는 요구를 헌신짝 집어던지듯 내팽개친 것이나 다름없다”며 “노무현 대통령이 선출되던 16대 대선 경선 때부터 이재명 전 대표가 후보로 선출됐던 지난 20대 대선 경선 때까지 모두 국민선거인단을 통한 경선이 원칙이었다. 이번 결정은 이런 민주당 경선의 역사와 원칙을 무너뜨리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국민경선을 포기하는 것은 국민을 신뢰하지 못한다는 것”이라고 지적하며 “민주당 대선 후보는 공정한 경선 룰을 통해 선출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당규준비위는 이번 대선특별당규 경선 방식을 재고하고 요구하는 한편, 박찬대 당대표 직무대행과 최고위원들에게도 “특별당규위의 결정을 바로 잡아달라”고도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