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 게임 콘솔 포함
中에 생산 거점 둔 MS·소니·닌텐도 등 차질
고율 관세 장기화 시 韓 게임사에도 영향
개발 중인 콘솔 신작 전략 수정 가능성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 관세 정책에 따른 불똥이 게임업계까지 튀었다. 고율 관세 대상에 게임 콘솔 기기가 포함되면서 관련 시장이 흔들리는 모습이다. 고율 관세 체제가 장기화할 경우, 최근 몇 년간 콘솔 시장 진출을 타진해 온 한국 게임사들도 전략 수정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15일 외신 및 관련 업계에 따르면 미국 관세국경보호청(CBP)은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하드디스크 등 20개 품목을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한다고 밝혔다. 대상 항목에 닌텐도 스위치, 소니 플레이스테이션(PS)이나 마이크로소프트(MS) 엑스박스(XBOX) 등 주요 게임 콘솔은 제외됐다.
현재 대부분의 콘솔 기기는 중국에서 제작돼 전 세계에 유통되고 있다. 닌텐도는 일찌감치 제조 공장을 중국과 베트남, 캄보디아 등으로 옮기고 이곳에서 기기를 생산해 왔다. PS와 XBOX도 조립 및 생산이 대부분 중국과 베트남에서 이뤄지고 있다. 블룸버그 등 외신에 따르면 주요 IT 기기 중 미국의 중국 수입 의존도가 가장 높은 제품은 게임 콘솔(86%)로 집계됐다.
콘솔 기기는 제조 공정도 복잡하고 중국 공급망 의존도가 높은 만큼 당장 생산 공장을 옮기긴 힘들다. 이 때문에 공급 지연을 포함해 콘솔 하드웨어 생산 원가 및 소비자 판매가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미 닌텐도는 신형 기기 '스위치2'의 미국 사전 예약 일정을 미뤘고, 소니는 유럽과 호주 등에서 PS5의 가격을 인상했다.
게임업계는 이번 관세 조치가 단기 콘솔 수요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전망한다. 더 나아가 콘솔 최대 시장인 미국에서 유통 및 출시가 흔들리면 콘솔 시장 전체가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의견도 제기된다.
서구권 매출 확대를 위해 콘솔 플랫폼으로 포트폴리오를 확장하던 국내 게임사들도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고율 관세 체제가 장기간 이어지면 소비자 판매가 인상에 따른 콘솔 시장 위축이 불가피하다는 전망 때문이다. 기기 가격이 인상되면 신규 이용자 유입이 하락하고 이에 따른 개별 타이틀 판매량 위축, 신작 관심도 하락 등의 악영향이 연쇄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이미 출시된 작품의 경우 유통 계약을 체결해 둔 상황이라 영향이 미미하겠으나 문제는 차기작이다. 콘솔 신작을 준비하고 있거나 추후 콘솔 플랫폼으로 확장을 검토 중이라면 관세 리스크에 따른 불확실성이 해소될 때까지 출시 시점이 지연될 수 있다. 신작을 차세대 기기 독점작으로 준비하는 대신 이전 세대 기종을 포함해 다양한 플랫폼에 지원하는 식으로 전략을 다시 꾸릴 가능성도 있다.
현재 ▲넥슨 '빈딕투스: 디파잉 페이트', '아크 레이더스' ▲넷마블 '일곱 개의 대죄: 오리진', '나 혼자만 레벨업: 어라이즈' ▲엔씨소프트 'LLL' ▲크래프톤 '서브노티카2', '딩컴' ▲카카오게임즈 '크로노 오디세이', '섹션 13' ▲펄어비스 '붉은사막' ▲넥슨게임즈 '던전앤파이터: 아라드', '프로젝트DX' 등 다수의 게임사가 콘솔 신작 파이프라인을 가동하고 있다. 이들 중 대부분이 연내 출시를 목표로 개발되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고율 관세가 확정적인 방향성으로 이어진다면 현재 개발 중인 콘솔 신작들에는 좀 영향이 있지 않겠냐"면서 " 콘솔은 북미를 타깃으로 하는 게 대부분이라 그쪽 시장이 주춤한다면 당연히 부담이 될 것이다. 또 실물 패키지를 유통하는 2차 밴더사들에도 피해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일각에서는 이번 조치가 모바일과 PC 플랫폼에 강점을 갖는 국내 게임사에게 오히려 호재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또, 관세 부과 대상에 PC가 제외돼 오히려 스팀 유통이 활발해질 수 있다는 추측도 제기된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관세로 인해 타격이 발생해도 국내 게임사는 모바일이나 PC 매출 비중이 높고 콘솔 비중이 적은 만큼 상대적으로 피해가 덜 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당장 큰 변화를 체감하긴 어려워도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어 보이고, 특히 콘솔 신기종이 출시됐는데 판매량이 부진하다면 전략을 재검토해야 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