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곤 의원 "대의원 50%, 권리당원 30%, 국민여론조사 20%"
그간 부정투표 가능성으로 논란이 됐던 모바일투표 방식이 민주통합당의 오는 5월 전국대의원대회에서 사실상 폐지된다.
김성곤 민주당 전대준비위원장은 22일 국회에서 이날 있었던 당무회의와 관련, “(이번 당대표 경선은) 대의원 50%, 권리당원 30%, 국민여론조사 20%로 구성키로 했다”며 “모바일, 서포터즈 제도 등 시민 참여를 확대하는 방안은 다음 전대 이전에 마련하기로 부칙에 넣었다”고 밝혔다.
이날 당무회의에서 정치혁신위원회는 일반당원과 모바일로 모집한 국민참여경선 선거인단 36만명을 국민여론조사 대상으로 하자고 제안했으나, 비상대책위원회는 일반당원 전수조사에 3개월이 소요되고, 국민참여경선 논의가 진전되지 않은 이유로 5월 전대에는 적용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이로써 모바일투표 방식의 재도입 여부는 다음 정기전대인 2015년 5월께나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민주당은 그동안 순수 집단지도체제로 운영됐던 지도부체제를 단일성 집단지도체제로 바꾸기로 합의했다. 단일성 집단지도체제는 당대표와 최고위원을 따로 선출하는 방식으로 민주당은 지난 2008년 정세균 상임고문이 당대표로 선출될 때까지 이 방식을 유지했다.
민주당은 또 이번 전대 예비경선에서 당대표 후보를 3명으로, 최고위원 후보를 7명으로 각각 압축하고, 그 이상의 후보자가 예비경선에 나올 경우 후보자 접수를 중단키로 결정했다.
특히 당대표와 원내대표를 포함, 현재 11명으로 구성되는 최고위원회를 9명으로 조정했다. 이에 따라 선출직 최고위원은 현행 5명에서 4명으로, 지명직 최고위원은 4명에서 3명으로 각각 줄어든다. 김 위원장은 “당대표의 권한을 강화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밖에 민주당은 시도당 위원장과 지역위원장 선거에서 권리당원의 비중을 대폭 확대하기로 합의했다. 최규성 전준위 부위원장은 “지역위원장 선출방식은 혁신위의 안을 대폭 수용해 권리당원들이 선출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시도당 위원장 선거에서 당원 비중은 대의원 50%, 권리당원 50%로 확정됐다. 다만 지역위원장의 경우, 선출 방식을 두고 이견이 좁혀지지 않아 향후 조직강화특별위원회에서 안을 내면 비대위가 최종 결정키로 했다.
한편, 민주당 비대위는 지난 18일 회의에서 차기 전대를 정기전대로 치르되, 선출된 지도부의 임기는 2년으로 하고, 대선평가위원회의 평가와 혁신위의 혁신과제를 전대에 적극 반영하기 위해 전대 개최일을 오는 5월 4일로 합의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