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환 "안철수 신당? 선거구조 개편 없이 어려워"
"야권분열 극복하면서 안철수 실험 유의미한 결과 어떻게 낳을지 흥미진진"
김영환 민주당 의원은 27일 안철수 무소속 의원의 신당 창당이 기존 선거구제를 개편하지 않고서는 세력화되기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 의원은 이날 SBS라디오에 출연해 “(‘안철수 신당’이) 정치세력화를 하려면 정당을 만들어 원내에 진입해야 한다”면서 “하지만 이는 중대선거구제를 개편하지 않고선 지금과 같은 양당제를 무너트리고 괄목할만한 정치세력이 되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김 의원은 이어 “그렇기 때문에 (‘안철수 신당’은) 개인의 문제가 아니다”면서 “(‘안철수 신당’이) 정치세력화를 어떻게 가능하게 하고, 야권분열을 어떻게 극복하면서 안 의원의 실험이 유의미한 결과를 낳게 될지 참 흥미진진한 문제”라고 언급했다.
당 인재영입위원장을 맡고 있는 김 의원은 또 “지금까지 (당내) 사무총장이나 최고위원 인선 등에서 국민들이 기대를 가졌던 (민주당의) 변화를 체감하기에는 터무니없이 부족한 인사가 아니냐는 생각을 대표를 비롯한 지도부도 알고 있다는 생각”이라며 “인재영입위원회 구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전했다.
김 의원은 이어 민주당과 안 의원 간 인재영입 경쟁이 일고 있다는 시각에 대해 “민주당은 인사 영입을 두고 ‘안철수 진영’과 경쟁할 생각이 전혀 없다”면서 “(오히려) 신당과 민주당의 운명은 상호의존돼있다. 큰 눈으로 보면 ‘안철수의 실험’이 성공해야 민주당이 집권할 수 있고, 민주당의 협조 없인 신당이 성공키 어려운 기기묘묘한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김 의원은 또 “우리는 우리식대로 전혀 새로운 방식으로 인재를 구할 생각”이라며 “명망가나 이미지 중심으로 사람을 뽑아선 안된다고 생각하고, 민생 밀착형이면서 새로운 시대가 요구하는 전문가 집단이라는 점에 초점을 맞춰가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민주당은 127명의 국회의원을 포함한 많은 인재가 들어와 있어 새 그림을 그리는 ‘안철수 진영’과는 전혀 조건이 다르다는 생각”이라며 “당에 입당하지 않고도 당의 지도부에게 조언을 해줄 수 있는 자문위원단이나 특보단을 광범위하게 구성하는 문제를 검토 중”이라고 언급했다.
김 의원은 또 이와 관련, “현재 국민이 볼 때 참신하고 새로운 시민운동을 했다거나 사회공헌을 했던 분들을 접촉했는데 당과 기꺼이 대화를 하길 원하는 분들이 계신다”면서 “그런 분들을 (김한길) 대표와 만나게 하는 모임을 준비 중”이라고도 했다.
"문재인, 향후 '친노 대표주자'로선 희망 없어"
아울러 김 의원은 지난 대선 당시 민주당 대선 후보였던 문재인 의원에 대해선 “문 의원은 1500만표 가까운 득표를 한 대중적 정치인으로 다시 태어나게 됐다”면서 “그렇기 때문에 앞으로 ‘친노(친노무현)의 대표주자’가 돼선 희망이 없다는 생각”이라고 조언했다.
김 의원은 이어 “(문 의원이) 갑자기 정치를 하게 됐기 때문에 그것을 채워가는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라며 “(현재) 문 의원이 ‘노무현의 대리인’으로서가 아닌 ‘정치인 문재인’의 변화를 앞두고 있다는 생각으로 우리당으로선 소중한 자산”이라고 말했다.
한편, 신경민 최고위원 또한 이날 평화방송 라디오에 출연해 당 안팎에서 안 의원에 대항해 문 의원의 행보를 적극 지원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는 것과 관련, “바람직한 방향 중 하나”라면서 긍정적인 입장을 내비쳤다.
신 최고위원은 또 안 의원의 행보에 대해 “예상했던 일로 놀랍지 않다”면서 “안 의원이 현실정치에 뛰어들었기 때문에 한 발 한 발 가면서 현실정치 행보가 쉽지 않다는 것을 절감하고 실감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민주당과 안 의원 간) 경쟁하면서 정치를 업그레이드 하는 것은 바람직하고 좋은 일”이라고 덧붙였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