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철현·우근민 '경선룰' 강력 반발 결국 '무소속'?
권철현측 "후보등록 마감일 입장" 우근민측 "무소속 출마 검토"
6.4 지방선거 광역단체장 후보 선출을 위한 경선 방식을 놓고 새누리당 내 진통이 끊이지 않고 있다.
당 공천심사위원회는 지난 12일부터 밤샘 논의 끝에 현행 방식인 ‘2(대의원)·3(일반당원)·3(국민선거인단)·2(여론조사)’를 유지하되, 제주만 ‘취약지역’으로 분류해 ‘100% 여론조사’ 방식을 적용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당의 이 같은 결정을 놓고 우근민 현 제주지사와 부산시장 선거에 출마한 권철현 전 주일대사는 즉각 반발했다. 최악의 경우에는 두 후보 모두 무소속 출마까지 강행할 태세다.
권철현 “100% 여론조사 가야” 우근민 “현행 룰대로 가야”
경선 방식을 바라보는 부산과 제주의 이해관계는 사뭇 다르다.
먼저 부산에서는 권 전 대사가 당내 기반이 약함에도 가장 높은 지지율을 기록하고 있다. 이 때문에 권 전 대사는 일찍부터 여론조사 비중 확대를 주장해왔다. 여기에는 당원투표 비중이 큰 현행 2·3·3·2 방식이 부산에 지역구를 둔 서병수 의원과 박민식 의원에게 절대적으로 유리하다는 불만도 깔려있다.
특히 여론조사 지지율이 뒤쳐지는 친박(친박근혜)계 서 의원을 공천하기 위해 당이 의도적으로 자신의 목소리를 묵살하고 있다는 게 권 전 대사의 주장이다. 그는 지난달 ‘데일리안’과 인터뷰에서도 국민경선이 박근혜 대통령의 공약이고 국민적 바람인 만큼, 여론조사 비중을 늘려야 한다고 촉구했었다.
하지만 당이 부산을 취약지역에서 제외, 현행 방식을 유지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권 전 대사의 셈법도 복잡해졌다. 권 전 대사 측 관계자는 13일 ‘데일리안’과 전화통화에서 “지금 후보등록이 15일까지니까, 일단 15일까지는 기다려보겠다”면서 “부산도 (제주처럼) 여론조사 100% 방식으로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관계자는 일부에서 흘러나오는 무소속 출마설, 오거돈 전 해양수산부 장관과 연대설에 대해서도 당이 자신들의 요구를 수용하지 않는다는 전제 하에 완전히 부인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보였다.
반면, 제주에서는 제주도당내 막강한 지지기반을 가진 우 지사가 100% 여론조사 방식에 반발하고 있다. 우 지사 측 관계자는 “100% 여론조사는 절대 수용할 수 없다는 것이 공식 입장”이라고 밝혔다.
당은 제주를 취약지역으로 분류한 데 대해 “당심(黨心)이 왜곡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우 지사가 새누리당에 입당하면서 지난해 8월부터 연말까지 1만7000여명의 당원이 증가했다. 2000여명에 불과했던 책임당원도 6000명 수준으로 늘어나 사실상 제주도당이 우 지사에 장악됐다는 비판도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제주에만 여론조사 100% 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원희룡 전략공천’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중진차출 대상이나 다름없는 원 전 의원을 본선에 내보내기 위해서는 여론조사 비중 확대밖에 방법이 없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원 전 의원은 현재 각종 여론조사 지지도에서 1위를 달리고 있다.
가장 큰 문제는 새누리당 지도부의 결정에 뚜렷한 원칙이 없다는 점이다. 당초 당 지도부는 당헌·당규에 규정된 원칙에는 제주도 예외가 될 수 없다는 입장을 보여왔기 때문이다.
또 당내 지지도와 시도당내 지지도, 여론조사 지지도가 다른 지역이 제주뿐 아닌데도 유독 제주만 취약지역으로 분류된 이유에도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당내 비주류 의원들 사이에서는 “제주와 같은 기준대로라면 서울, 인천, 울산 등에서도 여론조사 100% 방식을 적용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한편, 권 전 대사와 우 지사가 무소속 출마를 강행해 여권의 표를 나눠먹을 경우, 새누리당은 부산과 제주에서 어려운 선거를 치르게 될 것으로 보인다.
후보등록 마감일에 입장을 밝히겠다는 권 전 대사와 달리 우 지사는 벌써부터 무소속 출마를 고려하는 모습이다. 우 지사 측 관계자는 “향후 행보에 대해서는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무소속 출마 가능성에 대해서도 그는 “그것도 역시 포함된다”고 답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