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금융' 서금회 논란에 신제윤도 '끄덕'
정치권 "정윤회 문건 같은 사건이다" 신제윤 "자율-절차에 따른다"
“금융권 인사논란에 대해 정부권력이 깊이 생각해봐야 한다.”
우리은행장 내정설 등으로 촉발된 ‘신관치’ 논란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이 졸업한 서강대 출신 금융인 모임인 ‘서금회’가 금융계 파워인맥을 드러낸 것과 관련 정치권에서도 포문을 열었다.
5일 국회 정무위원회 전체회의에서는 이번 논란이 도마에 올랐다. 회의에 참석한 신제윤 금융위원장은 당국의 입장을 설명하느라 진땀을 뺐다. 하지만 타깃의 본질은 금융당국을 넘어선 ‘정치권력’이었다.
박병석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서금회 논란을 의심을 할 수밖에 없는 이유는 ‘(최근 금융회사 수장이) 왜 다 서금회 출신이냐’는 것”이라며 “과거에는 금융사 수장들의 출신학교도 폭넓었는데, 지금 상황은 우연이라고 보기엔 의심을 살만하다”고 지적했다.
실제 서금회는 올해 들어 이덕훈 수출입은행장과 정연대 코스콤 사장, 홍성국 대우증권 사장 등을 금융권 최고경영자로 배출했다. 여기에 우리은행장 후보로 서금회 멤버가 급부상하면서 ‘관피아’가 떠난 금융권에 ‘서금회’가 자리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특히 박 의원은 “이번 문제는 금융당국 차원을 넘어선 것으로 정부 권력이 깊이 생각해야 한다”며 “이런 사태가 계속되면 청문회가 열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사안마다 금융당국의 입장을 설명하던 신 위원장은 논란의 근원으로 청와대를 비롯한 정치권력이 지목 되자 고개를 끄덕이며 묵묵히 경청했다.
"금융권 인사에 비선라인 개입 확인되면, 금융당국 리더십 훼손"
같은당 김기식 의원은 “요즘 ‘정윤회 문건’ 논란으로 비선라인이 온국민의 관심인데, 금융권 인사에서도 비선라인이 인사에 관여한 것으로 확인되면 금융당국 리더십에 심각한 훼손이 올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우리은행장 선임에 금융위와 무관하게 청와대의 비선라인이 움직였다는 이야기가 사실로 확인될 경우, 금융시장 전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유념해 달라”며 “인사에 있어서 비선라인이 가장 큰 문제”라고 거듭 말했다.
새누리당 소속인 정우택 정무위원장도 “시중에서 떠도는 이야기가 (서금회 문제가) 심각하다고 한다”며 “야당 위원들의 지적에 정부에서도 귀 기울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신 위원장은 우리은행장 인선이 행장후보추천위원회에서 자율적으로 절차에 따라하고 있다며 특정인에 대한 내정설을 부인했다.
신 위원장은 ‘청와대의 뜻을 전달한 바 있느냐’는 질문에도 “우리은행 행추위에서 절차에 따라 은행장 선출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또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해 결정됐다는 말도 이상한 말이라고 생각한다”고 반박했다.
한편 우리은행 행추위는 이광구 부행장과 이동건 수석부행장, 정화영 중국법인장을 행장후보로 선정하고 이들에 대한 심층면접 등을 진행한 뒤 9일 임시 이사회에 최종 후보를 확정할 예정이다. 차기 행장은 이달 30일 주주총회에서 공식 선임된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