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C가 꺼내든 평창·일본 분산개최 카드…뒷면은?
올림픽 개최에 따른 천문학적 비용으로 유치 기피 현상까지 나타나
비용 절감 통해 적극 유치 유도하려는 타개책..평창, 첫 적용 타깃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복수의 국가와 도시에서 올림픽을 분산 개최하는 방안을 만장일치로 승인했다.
IOC는 8일(한국시각) 모나코에서 제127차 임시총회를 열고 '올림픽 어젠다 2020'의 첫 번째 안건이었던 ‘올림픽 복수 도시 개최’ 내용을 IOC 위원들의 표결로 만장일치 통과시켰다.
IOC는 이번 안건을 통과시킨 뒤 "이번 결정으로 올림픽 개최 비용 감소는 물론 더욱 많은 도시가 올림픽 개최를 적극 신청할 수 있게 됐다"고 전했다.
지난해 9월 토마스 바흐 위원장이 발표한 ‘어젠다 2020’은 올림픽 개최지 선정과 개최 방안, IOC 위원 선출 등 혁신안이 담겨 있다. 올림픽 유치과정 간소화 및 유치 과정에서 비용 절감, 그리고 그것을 위한 도시와 국가간 분산 개최국 등이 포함됐다. 여기에는 개최국 의사에 따른 올림픽 종목의 탄력적인 운영도 들어있다.
이번 안건 통과로 바흐 위원장이 최근 언급한 2018 평창 동계올림픽과 2020 도쿄 하계올림픽의 일부 종목 교류 개최 방안에도 힘이 실리게 됐다.
최근 주요 외신에 따르면, IOC가 평창 동계올림픽 썰매 종목(봅슬레이, 스켈리턴, 루지 등)을 일본에서 치르는 방안을 제안할 예정이다. IOC는 썰매 종목을 분산 개최하면 1억2000만 달러(약 1341억 원)의 건설비와 연간 300만∼500만 달러(약 33억∼55억 원)에 이르는 유지비를 줄일 수 있다는 분석도 내놓았다.
3수 끝에 개최권을 따낸 평창조직위 측은 “분산개최 가능성은 희박하다”며 사실상 반대 입장을 나타냈다. 평창올림픽은 썰매경기가 열리는 슬라이딩센터(공정 12.5%)를 비롯해 6개 신설 경기장이 모두 착공한 만큼, 동계올림픽 일부 종목이 일본서 열릴 가능성이 없다는 것.
게다가 일본과의 올림픽 분산 개최는 국민들이 현실적으로 납득하기 어려운 부분이라 개최국으로서 그런 방안에 동의하기 어렵다는 것이 평창조직위 측 입장이다. IOC도 “결정은 평창조직위 몫”이라는 입장이라 현실적으로 분산 개최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일본 언론들은 “1998 나가노동계올림픽 이후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썰매 경기 시설이 있고, 도쿄올림픽에서 일부 종목을 한국 경기장을 이용함으로써 재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며 환영하는 반응이다.
한국에서 논란이 될 것을 알고도 IOC가 이런 카드를 꺼내든 배경은 선명하다. 올림픽 개최에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면서 국가들이 올림픽 개최를 꺼리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2022 동계올림픽 유치에 뛰어들었던 오슬로(노르웨이)가 최근 재정적 부담을 이유로 유치 의사를 철회, 후보 도시가 알마티(카자흐스탄)와 베이징(중국)까지 2개로 줄었다.
올림픽 유치를 철회하는 도시들이 늘어나면 안정적이고 성공적인 올림픽 개최를 희망하는 IOC에 부담이 아닐 수 없다. 따라서 공동 유치를 허용해 올림픽 개최에 따르는 천문학적인 비용을 줄여 ‘유치 기피 현상’을 가라앉게 하려는 타개책을 내놓은 것이다. 그리고 그 첫 적용 타깃(?)이 2018 평창동계올림픽이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