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선 득표율 51.6% 박 대통령, 집권 2년 지지율 37%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 운영에 대한 지지율이 30%대로 추락하며 취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특히 여성과 영남, 장년층의 이른바 ‘콘크리트’ 지지층에서 지지율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론조사전문기관 ‘한국갤럽’이 19일 발표한 12월 셋째주(16~18일) 정례조사 결과 박 대통령의 직무수행에 대한 긍정평가는 37%로, 부정평가는 52%를 각각 기록했다. 긍정평가는 취임 이후 처음으로 30%대로 하락했으며, 부정평가는 최고치를 경신했다.
지난 2012년 12월 19일 제18대 대통령선거에서 51.6%의 득표율로 당선된 이후 정확하게 2년만에 부정평가가 득표율을 넘어선 것이다.
이번 평가에서 가장 눈에 띄는 점은 이른바 ‘콘크리트’ 지지층을 이루며 박 대통령의 지지율에 든든한 버팀목이 됐던 여성·영남·장년층에서 부정적 평가가 증가한 것이다.
특히 대구·경북의 경우 부정평가가 46%를 기록하며 직전조사에 비해 13%p 증가했으며, 부산·울산·경남도 부정평가가 53%를 기록해 직전조사 대비 11%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 대통령의 전통적 지지층이었던 영남권에서 부정평가가 10%p 이상 증가한 것이다.
직전 조사에서 긍정-부정평가가 모두 40% 중반이었던 여성도 이번 조사에서는 긍정평가 39%, 부정평가 49%로 나타났다. 긍정평가는 감소하고, 부정평가는 증가하면서 격차는 10%p차를 보였다.
한국갤럽은 “박 대통령의 기존 지지층에도 청와대 문건 유출 사건 여파가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며 “국민들은 문서의 사실 여부와는 별개로 청와대에서 그런 문건이 작성되고 비설 실세라 불리는 사람이나 대통령의 동생이 검찰에 출두하는 등 일련의 사태 자체를 엄중히 보고 있는 듯하다”고 분석했다.
이와 함께 박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해 각 분야별로 실시한 조사결과에서도 ‘외교’와 ‘대북 정책’을 제외한 나머지 공직사 인사, 교육정책, 여론수렴, 경제, 복지 등에서는 모두 낙제점이 기록됐다.
우선 공직인사에 대해 긍정평가는 14%에 불과한 반면, 부정평가는 60%로 나타났다. 교육정책은 긍정평가 20%-부정평가 45%, 국민여론수렴은 긍정평가 24%-부정평가 57%, 경제정책은 긍정평가 27%-부정평가 49%, 복지정책은 긍정평가 31%-부정평가 51%로 각각 확인됐다.
그나마 외교(긍정평가 60%-부정평가 20%)와 대북정책(긍정평가 41%-부정평가 33%)의 경우 긍정평가가 부정평가보다 높게 나타났지만 1년전 조사와 비교했을 때 긍정평가가 각각 6%p, 13%P 씩 줄어든 결과다.
한편, 이번 조사는 휴대전화 RDD 표본 프레임에서 무작위로 표본을 추출해 전화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실시됐다. 표본오차는 ±3.1%p에 95% 신뢰수준, 응답률은 16%(총 6180명 중 1600명 응답)였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