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 신년 기자회견 12일께 열릴듯
9일 국회 운영위 지나고 부처 업무보고 이전에 하려면...
신년사를 통해 국정운영의 방향을 제시한 박근혜 대통령이 조만간 국민들에게 직접 구체적인 집권 3년차 구상을 밝힐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와 같은 방식으로 신년 기자회견을 열고 주요 현안에 대해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는 방식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
2일 정치권에 따르면 박 대통령은 늦어도 이달 중순 쯤 신년회견을 열고 자신의 집권 3년차 구상을 밝힐 것으로 보인다. 이달 중순부터 진행되는 정부부처 업무보고 이전에 신년회견을 진행한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비선 실세 국정개입 의혹을 다루기 위해 9일 열리는 국회 운영위 회의와 청와대 문건유출 사건을 수사 중인 검찰의 중간 수사결과 발표를 지켜본 뒤 회견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청와대는 그동안 박 대통령의 신년 메시지 발표 형식과 관련해 담화 또는 기자회견을 놓고 고민해왔다. 그러나 언론과의 질의응답을 포함한 신년회견을 통해 집권 3년차 정국구상을 밝히는 것이 낫다는 쪽으로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박 대통령은 먼저 집권 3년차를 맞아 경제혁신과 규제개혁 등을 통한 경제활성화에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는 의지를 밝힐 전망이다. 여기에 노동과 금융, 연금과 공공기관 등의 정상화 개혁 작업도 거듭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무엇보다 박 대통령이 김정은의 ‘최고위급 회담’ 발언에 대해 어떤 반응을 보일지가 최대 관심사다. 김정은은 1일 신년사에서 “우린 남조선 당국이 진실로 대화를 통해 북남관계를 개선하려는 입장이라면 중단된 고위급 접촉도 재개할 수 있고, 부분별 회담도 할 수 있다”며 “분위기와 환경이 마련되는데 따라 최고위급 회담도 못할 이유가 없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새해 시작에 앞서 지난달 31일 미리 배포한 신년사에서 올해가 광복 70주년과 남북한 분단 70년이 되는 해임을 설명하고 “이제 우린 새로운 대한민국의 70년을 시작하는 출발점에 서 있다. 튼튼한 안보를 바탕으로 단절과 갈등의 분단 70년을 마감하고 신뢰와 변화로 북한을 이끌어내 통일의 길을 열어가겠다”고 밝힌 바 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