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D-1' 국회 운영위, 증인 출석 두고 갈등…파행 가능성?


입력 2015.01.08 18:05 수정 2015.01.08 18:11        문대현 기자

'문고리 3인방' 출석 최대 쟁점인 가운데 청와대 "국회 결정 따를 것"

지난해 12월 5일 오전 새정치민주연합의 소집 요구로 열린 국회 운영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새누리당 의원들이 전원 불참하고 위원장인 이완구 원내대표 만 참석한 가운데 진행되고 있다. (자료사진)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청와대 비선실세 국정개입 의혹을 다룰 국회 운영위원회 개최가 하루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 김영한 정무수석 그리고 이른바 ‘문고리 3인방’의 증인 출석을 놓고 여야간 이견이 좁혀지지 않고 있다.

우윤근 새정치민주연합 원내대표는 8일 당 정책조정회의에서 “국민을 위한 충성은 김기춘 비서실장과 ‘문고리 3인방’(이재만 총무비서관, 정호성·안봉근 제1·2 부속비서관)이 운영위에 출석해 진실을 이야기하는 것”이라며 “청와대는 국회가 요구한 자료 제출을 오늘 중으로 해달라”고 주장했다.

우 원내대표는 “비선실세 국정농단에 대해 아무도 책임지지 않고 아무 일도 없던 것처럼 넘어가는 것이야말로 청와대 비정상화의 극치”라며 “청와대 인적쇄신은 비정상적 청와대의 정상화, 비정상적 국정운영의 정상화를 위한 최소한의 필요조건”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날 오전 ‘YTN 라디오’에서도 “문서유출 경위나 사건수사에서 회유나 압력은 있었는지, 문고리 3인방들이 어떤 의혹이 있는지 등을 국민의 대표가 당연히 물어봐야 되는 것 아닌가”라고 여당을 압박했다.

우 원내대표는 “여당에서는 민정수석이 국회에 증인으로 나온 전례가 없다는 얘기를 하고 있는데 참여정부 때는 민정수석이 4차례나 국회에 출석한 바가 있디”며 “그런 전례 여부와 상관없이 이 사건의 진원지가 민정수석실인데 당연히 나와야 된다고 생각한다”라고 반박했다.

같은당 안규백 원내수석부대표도 이날 회의에서 “출석범위와 관련해서 수차례 수석 간 회의가 있었지만 아직까지 김 민정수석을 비롯해 문고리 3인방의 출석에 대해서 명쾌하게 정리되지 못하고 있다”면서 “국정컨트롤타워인 청와대가 찌라시를 만드는 곳으로 전락한 애처로운 현실에서 관련된 모든 사람들이 국회에 나와 국민 앞에 사과하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같은 야당의 공세에도 새누리당은 김 비서실장과 이 비서관만 운영위에 참석시킬 예정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여당은 국회의 관례를 이유로 민정수석과 나머지 비서관들의 운영위 거부하고 있다.

홍문종 새누리당 의원은 8일 ‘MBC 라디오’에 출연해 “두 명 안 나온다고 해서 따질 거 못따지는 거 아니다”라며 “정상적으로 나올 수 있는 사람 출석시키고 운영위에서 시시비비를 가리는 게 우선이다”라고 맞섰다.

홍 의원은 “정말 국회에서 납득하지 못할, 이해가 되지 않아 꼭 파헤쳐야 되는 그런 일들이 있으면 또 상임위를 또 열 수 있는 것”이라며 “일단은 원래 나오게 돼 있는 사람들을 출석시키고 그분들에게 의견을 개진해야 한다”라고 대응했다.

같은당 윤영석 원내대변인도 이날 오후 국회 브리핑에서 “야당은 여당시절에 민정수석이 국회 운영위에 5번 출석했다고 주장하지만 그러나 그 중 3건은 국정감사에서 ‘증인’ 신청에 의한 출석이었고, 1건은 결산 보고시 해명을 위한 자진출석이었다”라고 반박했다.

윤 원내대변인은 “국정감사와 결산보고를 제외하고 청와대 민정수석이 국회 운영위 현안보고에 출석한 사례는 지난 2004년 1월 19일 한차례에 불과하다”라며 “또한 부속비서관은 대통령을 보좌하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대통령 업무수행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국회 운영위원회 현안보고에 참석한 사례가 전무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허위문건에 언급되었다는 이유만으로 민정수석과 부속비서관의 출석을 요구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라고 선을 그었다.

이에 앞서, 김재원 원내수석부대표는 지난 6일 여야 원내지도부 주례회동 이후 기자들과 만나 “운영위를 오랫동안 국회에서 열어오는 관례와 원칙이 있다”며 “관례와 원칙대로 운영위를 여는 것이 마땅하다는 입장을 유지한다”고 못 박았다.

이에 함께 있던 안 원내수석은 “그간 민정수석이 불참한 사유는 모든 수석이 국회에 나오기 때문에 대통령 보좌를 위해 나오지 않았었다”며 “그러나 이번에는 다른 수석들이 나오지 않으니까 불참 사유가 될 수 없다”고 반박했지만 김 원내수석의 입장은 변함이 없었다.

여야의 원내수석은 이 문제와 관련해 계속해서 논의를 이어가고 있지만 쉽게 이견을 좁히지는 못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때문에 정치권 일각에서는 야당이 운영위 보이콧을 행사하는 강수를 둘 것이라는 전망도 솔솔 나오고 있다.

한편, 논란의 중심에 서 있는 청와대는 ‘김 민정수석과 정호성·안봉근 비서관의 운영위 출석은 국회 결정에 달린 일’이라며 물러섰다.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오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국회 운영위원회에 이들이 출석할 의향이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 “이 쪽(청와대) 의향과 관계 없이 국회에서 결정해서 나오라고 하면 나가는 것”이라고 답변했다.

문대현 기자 (eggod6112@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문대현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