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하나·외환은행 통합 실타래 '또 꼬이네'


입력 2015.01.10 10:48 수정 2015.01.12 10:18        이충재 기자

'비정규직 전환' 이슈로 노사 갈등…금융당국 "기다릴 수만은 없다"

하나-외환은행 조기 통합을 위한 논의가 교착상태에 빠진 가운데 서울 을지로 외환은행 본점 앞으로 시민들이 지나가고 있다.(자료사진) ⓒ연합뉴스

하나-외환은행 조기 통합을 위한 논의가 좀처럼 풀리지 않고 있다.

통합의 실타래가 꼬이기 시작한 것은 외환은행 노조가 하나-외환 통합을 위한 대화 창구에 무기계약직 2000명의 정규직 전환이나 6급 직원의 5급 자동 승진 등의 안건을 들고 나오면서부터다.

은행권에서는 외환은행 노조가 무리한 요구로 비판여론을 자초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노조는 외환은행의 ‘무기계약직 정규직 6급 전환’이 지난 2013년 10월 합의된 사항으로 “사측과 협상이 아닌 사측이 이행만 하면 된다”고 주장했다. 통합논의의 전제조건이 아니라는 설명이다.

이에 통합의 산파인 금융당국이 노사 합의가 없더라도 통합 승인을 하겠다는 의견을 내비치면서 최대 변수로 떠올랐다.

금융당국은 외환은행 노조의 요구가 과도한데다 다른 은행 협상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노사 합의가 전제돼야 통합 승인이 가능하다’는 기존 입장에 변화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이에 하나금융은 노조와 지속적으로 대화를 추진하면서도 접점을 찾지 못할 경우 당국에 통합 신청서를 내겠다는 계획이다. 금융당국이 노조측에 등을 보이면서 통합에 속도를 낼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 셈이다.

그렇다고 하나금융이 섣불리 통합을 추진하기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하나금융이 금융당국에 통합 신청서를 제출해 당국으로부터 예비인가를 받으면 물리적 통합이 가능하지만, 노사 간 합의 없이는 화학적 결합이 어렵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단순히 합병을 신속하게 진행하는데 치중하기 보다는 파열음을 최소화하고 장기적으로 조직의 화학적 결합을 이뤄야 한다고 지적했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하나금융에서 당장 통합을 진행해도 절차적 문제가 없지만, 향후 더 큰문제를 생각해야 한다”며 “자존심이 센 외환은행 사람들을 설득하지 않고는 통합만 했지 투뱅크 체제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 국내 은행 합병의 가장 성공적인 사례로 꼽히는 2006년 신한-조흥은행의 합병과 실패한 합병으로 꼽히는 서울신탁은행(서울은행-한국신탁은행)의 가장 큰 차이점이 ‘화학적 결합여부’였다.

더욱이 다른 시중은행들과 달리 합병을 거친 적 없는 외환은행의 순혈주의가 유난히 강한 만큼 ‘감성적 결합’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통합 협상이 교착상태에 빠진 상황에서 금융당국의 개입을 두고 은행권에서는 기대와 함께 우려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이충재 기자 (cjle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충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