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몽구 ·구본무 ·신동빈 …왕양 부총리와 잇단 회동
중국사업 협력방안 논의… 대규모 투자에 환영의사·적극적 협조 약속
왕양 부총리, 신동빈 회장 주재 전경련 기업인 오찬도 참석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회장과 구본무 LG그룹 회장 등 재계 총수들이 24일 오전 방한 중인 왕양(汪洋) 중국 국무원 부총리를 잇따라 만남을 갖고 중국사업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정 회장은 이날 오전 서울 중구 장충동 호텔신라에서 왕양 부총리와 회동했다.
정 회장은 현대차가 중국 허베이(河北)성 창저우(滄州)와 서부 충칭(重慶)에 각각 연산 30만대 규모의 4, 5공장을 건설하기로 중국 지방정부와 합의한 것과 관련, 공장 설립이 차질없이 진행되도록 중국 정부의 협조를 당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왕양 부총리는 현대차그룹의 중국 내 대규모 투자에 환영 의사를 표시하면서 적극적인 협력을 약속한 것으로 전해졌다.
구 회장은 정 회장에 이어 별도로 왕양 부총리와 만나 LG그룹 계열사들의 중국 내 사업 등과 관련해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특히 구 회장은 왕양 부총리가 광둥(廣東)성 서기로 재직하던 시절 광둥성 성도인 광저우(廣州)에 대규모 투자를 결정한 바 있으며, 그 이후 각별한 관계를 유지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구 회장은 이 자리에서 “LG디스플레이 광저우 LCD 공장을 성공적으로 완공할 수 있도록 관심을 기울여 주어 감사하다”고 인사를 전하고, “중국 정부에서 펼치고 있는 경제정책, 특히 친환경 정책에 적극 동참하고 중국 기업과의 협력도 지속적으로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왕양 부총리는 LG와 중국기업 간의 수평적 협력 모델을 높이 평가하고, LG의 전기차 배터리 기술력에 대해서도 높은 관심을 보였다. 특히 LG의 중국 사업이 잘 추진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LG디스플레이는 왕양 부총리가 광둥성 당서기로 있을 당시 광둥성 광저우시에 8.5세대 LCD 패널 공장을 건립키로 하고 지난해 9월 이를 완공해 본격적인 현지 생산을 시작했다.
광저우 8.5세대 LCD 패널 공장에서는 울트라HD 및 풀HD 해상도의 55, 49, 42인치 등 중대형 TV용 LCD를 주력으로 생산하고 있으며, 월 6만장(유리원판 투입 기준) 생산을 시작으로 2016년 말까지 최대 생산량인 월 12만장으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또한 LG화학은 지난해 말부터 중국 난징시에 전기차 10만대 이상에 공급할 수 있는 규모의 전기차 배터리 공장을 건설하고 있으며, 오는 2016년부터 본격 양산을 시작할 계획이다.
LG화학 난징 전기차 배터리 공장은 축구장 3배 이상 크기인 25,000㎡ 면적에 지상 3층으로 건설되며, 특히 이 공장은 현지 고객 니즈에 즉각 대응할 수 있도록 셀(Cell)부터 모듈(Module), 팩(Pack)까지 모두 생산할 수 있는 일관생산체제로 구축될 예정이다.
LG화학은 공장 건설을 위해 지난해 8월 중국 투자회사 2곳과 합작법인인 '남경LG화학신에너지전지유한공사(南京LG化学新能源电池有限公司)'를 설립했다.
한편 왕양 부총리는 이날 낮 호텔신라에서 전국경제인연합회 주관으로 열리는 기업인 오찬에 참석했다.
이 자리는 롯데그룹 신동빈 회장이 주재하고 박삼구 금호아시아나 회장, 삼성전자 박상진 대외담당 사장, LG전자 신문범 사장(중국법인장) 등이 참석했다.
앞서 왕양 부총리는 전날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만나 삼성의 중국사업 추진 현황, 중장기적 사업협력 방안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또 대한상공회의소 주최로 열린 한중 비즈니스 포럼에 참석하고 박용만 대한상의 회장(두산 회장),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 서경배 아모레퍼시픽 회장 등 서울상의 회장단과도 환담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