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부터 그룹 리밸런싱 작업 중...“결정된 것 없어”
SK그룹이 리밸런싱(사업 재편) 차원에서 반도체 핵심소재 계열사인 SK실트론의 경영권 매각 등을 검토하고 있다.
8일 업계에 따르면 SK그룹 지주사인 SK㈜는 최근 복수의 사모펀드와 접촉하며 SK실트론 매각 방안 등을 타진하고 있다. 현재 거론되는 매각 지분은 SK㈜가 직접 보유한 51%와 총수익스와프(TRS) 계약을 통해 확보한 19.6% 등 총 70.6%가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SK 측은 “지난해부터 리밸런싱 작업을 하면서 다양한 방안을 검토 중이며 결정된 것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SK실트론은 12인치 반도체용 웨이퍼 생산 분야에서 글로벌 시장 점유율 3위를 기록 중인 국내 유일의 전문 제조사다. SK그룹은 지난 2017년 LG그룹이 보유한 LG실트론 지분 51%를 6200억원에 인수한 뒤 KTB PE(사모펀드)와 우리은행 등 보고펀드 채권단 등의 지분을 순차적으로 확보해왔다. 이 중 최태원 SK 회장이 개인적으로 보유한 29.4%는 매각 대상에서 제외된 것으로 전해졌다.
시장에서는 SK실트론의 몸값을 5조원 안팎으로 추산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매각이 성사될 경우 SK㈜는 3조원 수준의 현금 유입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셈이다.
이에 SK 측은 거론되는 밸류에이션에 대해서도 “출처는 알 수 없고, 당사 기준으로 다소 낮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이 같은 매각 검토는 SK그룹이 추진 중인 사업 재편 전략의 연장선상에서 이뤄졌다. SK그룹은 작년부터 배터리·석유화학 등 일부 주력 사업의 부진과 과도한 투자에 따른 재무 부담을 해소하기 위해 자산 유동화를 확대해왔다. 특히 SK㈜는 자회사 지분 비중이 80% 이상인 특성상 보유 자산의 관리가 지주사 기업가치에 직결된다는 점에서 전략적 매각을 병행 중이다.
앞서 SK㈜는 지난해 12월 특수가스 제조 자회사인 SK스페셜티 지분 85%를 사모펀드 한앤컴퍼니에 매각하기 위한 주식매매계약(SPA)을 체결하기도 했다.
매각 지분 가치는 약 2조7000억원 규모다. 당시 SK㈜는 SK스페셜티 지분 매각을 통해 확보한 자금을 재무건전성 개선과 함께 인공지능(AI)·에너지솔루션 등 신사업 투자 재원으로 활용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