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당 의총→표결 참여→20표차 동의안 가결 '숨가쁜 하루'
<현장>찬성 148, 반대 128, 무효 5…여당 이탈표 최소 7표
이완구 국무총리 후보자의 인준동의안이 오랜 산고 끝에 16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국회는 이날 오후 열린 본회의에서 이 후보자 임명동의안을 표결에 부쳐 무기명 비밀투표를 진행했고, 재적 의원 281명 중 찬성 148명, 반대 128명, 무표 5명으로 가결 처리됐다.
본회의에 앞서 여야는 각각 의원총회를 열어 이 후보자 인준안에 대한 당의 최종 입장을 정리하는 등의 모습을 보였다.
새누리당은 오전 11시와 오후 1시 30분, 두 차례에 걸쳐 의총을 개최해 본회의에 참석할 소속 의원들의 수를 파악하고 확보하는 동시에 당 내부를 단결시켜 인준안이 통과될 수 있도록 뜻을 모으는 데 주력했다.
오후 1시가 돼서야 의총을 연 새정치민주연합은 토론을 거쳐 당초 ‘반대 투표’를 당론으로 정할 것이라는 추측과 달리 ‘자유 투표’를 하는 것으로 입장을 정리했다. 이 과정에서 야당은 의총이 끝날 때까지 본회의를 잠시 연기해줄 것을 요청했으나 정의화 국회의장과 여당 측이 이를 받아들이지 않아 예정대로 2시에 본회의가 열리게 됐다.
일찌감치 당의 입장을 정리한 여당 소속 의원들은 1시 50분경 의총을 마치고 본회의장으로 이동해 자리를 지켰고, 2시 12분이 되자 정 의장도 본희의장에 모습을 드러냈다.
여당은 표 단속을 위해 해외 출장 중인 의원들을 모두 귀국시키고 출장이 예정됐던 의원들도 일정을 조정케 하는 등 혹시나 모를 이탈표에 대비했고 이와 함께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황우여 교육부총리, 김희정 여성부 장관 등 국무위원 3인도 본회의에 참석시켰다.
새정치연합 소속 의원들은 2시 41분이 돼서야 회의장에 모습을 드러냈다. 그러나 새정치연합과 뜻을 함께 할 것으로 예상됐던 정의당 의원 5명은 본회의장에 참석했다가 이 후보자 임명동의안 처리 안건이 올라오자 투표에 참여하지 않고 곧바로 회의장을 나왔다.
여야 의원들은 본회의가 개회되자 의사진행발언을 신청해 이 후보자의 임명동의를 두고 팽팽하게 맞섰다.
홍종학 새정치연합의원은 “이 후보자는 청문회가 진행되는 동안 기본적인 자료조차 제출하지 않고 각종 의혹에 대해 강하게 부정했다”며 “이 후보자의 강한 부정발언은 모두 거짓임이 만천하에 밝혀졌다”고 비판했다.
인사청문특위 위원으로 활동한 홍 의원은 “이 후보자가 총리가 되면 당장의 국정 운영에 도움이 될 지는 모르겠지만 후보자의 비리가 수시로 폭로돼 국정은 마비가 될 것”이라며 “이것이야말로 소탐대실이다. 오로지 국민만을 생각하며 선택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청문특위에서 야당 간사를 맡았던 유성엽 의원도 “청문회장에서의 거짓말이 과연 덮어질 수 있는 허물인지 묻고 싶다. 국무총리는 참으로 무거운 자리다”라며 “이대로 임명될 경우 국민들이 정부를 어떻게 믿을 수 있나. 참으로 가슴 아프지만 국회가 결단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반면, 청문특위 여당 간사였던 정문헌 의원은 “안대희, 문창극 후보자에 이어 이 후보자를 또 다시 낙마시키면 국가 이익 차원에서 너무나 가혹한 일”이라며 “이 후보자는 3선의 의원이고 여당의 원내대표로서 줄곧 소통과 협의를 실천해 온 분”이라고 치켜세웠다.
정 의원은 이어 “우리는 실질적으로 국정의 혼란을 묵과하거나 용인하면 안된다”라며 “이 점을 중히 여겨서 우리에게 맡겨진 대의민주주의 책임과 의문에 따라 인준안에 찬성해줄 것을 바란다”라고 당부했다.
이후 의사일정 제1항에 따라 국무총리 임명동의안이 상정됐고 무기명 비밀투표에 들어갔다. 표결에는 새누리당 의원 155명 외에 새정치민주연합 124명, 무소속 2명(정의화 국회의장·유승우 의원)이 참여했다. 약 20분 정도 진행된 투표는 3시 37분이 돼서야 개표에 돌입했고, 148개의 찬성표가 나와 이 후보자의 임명동의안은 가결됐다.
그러나 이는 가결 요건인 출석 의원 과반(141표)에서 불과 7표를 더 얻은 것으로, 새누리당 소속 의원 155명이 표결에 참여한 만큼 여당에서 최소한 7명의 이탈표(반대 또는 무효표)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돼 여당 입장에서는 뒷맛이 개운치 못한 통과가 됐다.
정 의장은 임명동의안 처리 후 “여야 합의로 처리하게 된 것에 대해 큰 의미를 부여하고 싶다”며 “앞으로도 이와 같이 여야 합의 정신을 바탕으로 의회민주주의의 생명인 ‘절차적 민주주의’가 굳건히 지켜지길 소망한다”라고 밝혔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