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김무성 “야당, 5년 전 천안함폭침 규탄 결의안 반대 사과해야”


입력 2015.03.26 13:34 수정 2015.03.26 13:44        대전 = 데일리안 문대현 기자

대전현장최고위서 "5·24 조치 해제, 북한의 사과 선행돼야"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지난 25일 오전 인천 서구 검단농협 본점에서 열린 인천시당 핵심당원 연수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데일리안 홍효식 기자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26일 5년 전 천안함 폭침 당시 민주당 의원들이 대북규탄결의안에 반대한 것을 두고 “새정치민주연합은 순국 장병들과 국민 앞에 사과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김 대표는 이날 오전 대전 유성구 기초과학연구원에서 열린 현장최고위원회의에서 “천안함 폭침은 5년 전 국제 공동조사에 의해서 이미 북한군에 의한 피격으로 북한의 소행임이 명명백백하게 밝혀졌던 사건이었다”라며 이같이 밝혔다.

김 대표는 “당시 천안함 폭침이 북한 소행이 아니라는 괴담을 주장하고 퍼뜨리면서 유가족 가슴에 피멍을 들게 하고 장병들의 거룩한 순국을 폄하한 세력들이 있다”라며 “당시 국회에서 천안함 폭침 규탄 결의안을 의결할 때 민주당 의원 70명 중에 69명이 반대표를 던졌다는 사실을 우리는 잊어서는 안 된다. 반대한 의원 중 30명이 19대 국회에서 지금 활동 중이다”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북한은 연일 천안함 사건과 무관하다면서 모략이나 날조 같은 얼토당토 않은 궤변을 일삼으면서 5·24 조치 해제를 요구하고 있다”라며 “그러나 5·24 조치 해제를 위해서라면 북한의 책임있는 사과와 관련 조치가 우선돼야 한다”라고 말했다.

그는 또 전날 문재인 새정치연합 대표가 “천안함 폭침이 북한 소행”이라고 처음 언급한 것에 대해 “많이 늦었지만 그래도 환영할 일이고 오늘 추모식에 참석한다고 하니 반가운 마음으로 만나겠다”라면서도 “북한의 사과를 먼저 요구하지 않고 천안함 폭침을 우리 안보 무능의 산물이라고 말한 점은 심히 유감이다”라고 전했다.

유승민 원내대표도 “전날 야당 대표가 5년 만에 처음으로 천안함 폭침이 북한 소행이라는 점을 처음으로 언급했다고 전해지고 있다”며 “안보 정당을 표방하면서 5년만에 북한 소행임을 인정한 것은 그나마 다행”이라고 밝혔다.

유 원내대표는 “이왕 안보정당이란 기치를 내세운 만큼 국가 안보 하나 만큼은 초당적으로 임해주길 바란다”라며 “중요한 국가안보 이슈에서도 뜻을 같이 해주길 부탁드린다”라고 당부했다.

그는 또 국방부 부대관리훈령에 따라 천안함 용사 공식 추도식이 내년부터는 일반 위령제로 전환되는 사실을 언급하며 천안함 폭침 사태는 앞으로 계속 공식 추도식으로 할 것을 정부에 건의할 것임을 알렸다.

유 원내대표는 “북한이 아직도 조작 또는 날조라고 하고 있고, 우리 사회 안에서도 천안함 폭침에 대한 공감대가 아직 부족한 마당에 정부 스스로 공식 추도식을 국방부 훈령 정도에 근거해 중단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라며 “이 문제에 대해 우리 사회가 입장을 충분히 정리할 때까지 공식 추도식을 계속할 것을 정부에 건의하겠다”고 전했다.

원유철 정책위의장도 “문 대표가 천안함 폭침을 북한 소행이라고 규정했는데 만시지탄이지만 다행이라고 생각한다”라면서도 “그러나 여전히 문 대표는 북의 무력도발인 천안함 폭침을 정쟁의 소재로 삼고 있지 않나 심히 우려스럽다. 국가 안보에 여야가 따로 있을 수 없다”라고 설명했다.

한편, 김 대표는 대전 기업체 현장 방문을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유승민 원내대표가 천안함 폭침 공식 추도식이 5주기로 끝나는 규정을 바꿔 공식 추도식을 지속해야 한다고 말한 데 대해 "그것은 다른 일반(적인 경우와) 다 연계되는 일이기 때문에 정부의 방침, 원칙을 따라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다소 부정적인 입장을 내놨다.

문대현 기자 (eggod6112@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문대현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