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공무원연금 특위 재가동 첫날부터 '삐그덕'


입력 2015.04.06 20:45 수정 2015.04.06 20:52        이슬기 기자

최대 쟁점 지급률 손도 못 대, 노조 대표 선정 두고 이견

주호영 국회 공무원연금개혁 특별위원회 위원장이 6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공무원연금개혁 특위 전체회의에서 조원진 새누리당, 강기정 새정치민주연합 간사와 머리를 맞대고 무언가 논의하고 있다. 특위는 오는 7일로 만료되는 특위의 활동기한을 다음 달 2일로 25일간 연장했다.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국회 공무원연금개혁 특별위원회가 6일 전체회의를 열고 재가동을 시작했지만, 투트랙으로 진행키로 했던 실무기구의 구성을 두고 여야간 공방을 벌이다 협상이 결렬됐다.

조해진 새누리당 원내수석부대표와 안규백 새정치민주연합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오후 회동을 갖고 실무기구 구성에 나섰으나, 공무원 노조 대표 2명 선정을 두고 이견을 보이다 결국 접점을 찾지 못했다.

당초 지급률(공무원들이 매달 받게 되는 연금)이 특위의 최대 쟁점으로 예상됐지만, 지급률은 고사하고 당장 실무기구 구성부터 공방을 벌이다 불발된 것이다. 이에 따라 여야는 오는 7일로 예정된 원내대표 주례회동에서 이같은 내용을 재논의키로 했다.

여야는 당초 실무기구에 정부 대표 2명과 공무원 노조 대표 2명, 여야가 추천하는 연금 전문가 2명, 여야가 합의한 공적연금 전문가 1명으로 총 7명을 두기로 합의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조 원내수석부대표는 회동 후 기자들과 만나 "공무원 노조 측 4개 단체 중, 어느 단체가 들어가느냐를 두고 이견이 있었다"면서 “실무기구 구성원이 늘어날 수도 있다”고 말했다.

한편 여야는 이날 이명박 정부의 해외자원개발 국정조사 특별위원회와 관련한 논의도 진행했지만, 특위의 활동 기한 연장과 증인 채택 문제를 두고 의견 차를 좁히지 못했다.

조 원내수석부대표는 "공무원연금개혁 특위와 자원외교 특위를 모두 성실히 하자는 것이 여야 합의사항 이므로 둘 다 차질 없이 잘 진행된다면 (자원외교 특위 기한연장도)전향적으로 검토할 여지가 있다"며 "공무원연금개혁 특위가 정상적으로 진행되는 것이 확인되면 자원외교 특위도 연동해 (연장 가능성을)긍정적으로 검토할 수있다"고 말했다.

반면, 안 원내수석부대표는 "우리당 입장에서는 공무원연금개혁과 자원외교를 연동할 생각이 추호도 없다"고 재차 못 박았다.

이슬기 기자 (wisdom@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슬기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