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전병헌 "성완종 장부에 야권인사? 핵심은 권력실세"


입력 2015.04.17 10:48 수정 2015.04.17 11:05        조소영 기자

"다른 부분들과 함께 수사한다면 '물타기 수사'"

전병헌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자료사진). ⓒ데일리안 홍효식 기자
새정치민주연합 친박게이트 대책위원장인 전병헌 의원이 야권인사들이 포함된 고(故)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의 장부가 나온 것과 관련 현 정권 실세들에 관한 수사부터 철저히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 의원은 17일 MBC라디오에 출연해 여야인사 14명이 거론된 '성완종 장부'가 발견된 것을 두고 "거기에 뭐가 나와있다고 한다면 우리가 주장을 하지 않더라도 (검찰이) 당연히 수사를 할 것"이라며 "다만 이 사안의 핵심이 무엇이냐. '성완종 리스트'라는 8인의 대통령 측근과 권력실세들에 관한 수사가 먼저 진행돼야지 다른 부분들과 함께 수사한다면 이는 '물타기 수사'라고 비난받지 않을 도리가 없다"고 비판했다.

앞서 '성완종 리스트'를 수사 중인 특별수사팀(팀장 문무일 검사장)은 성 전 회장이 여야 유력 정치인 14명에게 불법자금을 제공한 내역을 담은 로비 장부를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는 '성완종 리스트'에 등장하는 현 정부 인사들뿐만 아니라 새정치민주연합 등 야당 정치인 7~8명에게도 금품을 건넨 내역이 담겨있어 여야를 막론한 수사가 이뤄질 가능성이 커진 상황이다.

전 의원은 특별검사제 도입과 관련해서는 기존 여야 합의로 만든 상설특검이 아닌 새로운 특검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16일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와의 회동에서 "특검을 도입하는 게 진실규명에 도움이 된다면 그것 또한 마다할 이유가 없다"고 말한 데 대해 "어떠한 특검도 마다하지 않겠다는 의미로 (언급)했을 것으로 믿겠다"고 말했다.

전 의원은 그러면서 "현재의 제도화 돼있는 특검을 말하는 것이라면 이는 이 사건을 은폐, 축소하자는 것"이라며 "현재 상설에 대한 제도 특검은 수사 검사가 5인을 넘지 못하게 돼있고 수사기간도 60일을 넘지 못하게 돼있다"고 지적했다.

전 의원은 "그래도 여야가 합의한 상설특검인데 무용지물이 돼버리는 느낌"이라는 지적과 관련해서는 "무용지물이 되는 것은 아니고 이번 일은 헌정사상 초유의 초대형 비리사건이 터졌기 때문에 현재의 특검을 갖고서는 용량초과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전 의원은 박 대통령과 김 대표의 회동과 관련 "전형적인 빈 수레 회동"이라고 혹평한 뒤 "김 대표가 당내에서 분출되는 여러 가지 이야기를 전달했다고 하는데 (박 대통령의 대답을 듣고) 황당해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12일간의 중남미 순방을 다녀온 후 이완구 국무총리의 거취 등을 결정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는 12일간의 국정 공백 사태 등을 우려한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전 의원은 이에 대해 "국무총리가 공백이 생기면 부총리가 두 분이나 계시잖느냐"며 "거의 총리로 인정받을 수 없을 지경의 식물총리로 평가받는 분이 국정 최고책임자로 대행하게 된다면 오히려 나라에 해가 될 수 있다"고 반박했다.

조소영 기자 (cho11757@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조소영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