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써부터 차기 총리 하마평, 관리형? 정무형?
도덕성 제1덕목 꼽히는 가운데 하마평 오른 인사들 10여명 넘어
'성완종 사태'에 휩싸인 이완구 국무총리가 사의를 표명한 직후 정치권 안팎에서 차기 총리에 관한 자격요건 및 하마평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이 총리를 비롯해 과거 총리후보로 거론되거나 총리를 지냈던 이들이 모두 도덕성에서 흠집이 있었던 만큼 도덕성이 차기 총리의 제1덕목으로 거론되는 한편 관리형과 정무형 중 박근혜 대통령이 어떤 유형의 총리를 선택할지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이 총리는 물론 박근혜 정부 첫 번째 총리후보였던 김용준 전 헌법재판소장과 정홍원 전 대한법률구조공단 이사장, 안대희 전 대법관 등 총리후보로 올랐거나 총리가 됐던 이들은 모두 도덕성에서 문제가 발견됐었다.
이중 김 전 소장은 두 아들의 병역면제 논란, 부동산 투기 의혹 등으로 후보직에서 내려왔고 안 전 대법관도 재산 증식과 전관예우 논란 등으로 후보직에서 물러났다. 정 전 이사장과 이 총리는 힘겹게 인사청문회를 통과해 총리직을 수행했으나 결국 이 총리는 '성완종 사태'로 도덕성이 문제가 돼 내려오게 됐고 정 전 이사장만이 박근혜 정부에서 그나마 제대로 총리직을 수행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이 때문에 박 대통령이 차기 총리를 택할 땐 도덕성에 상당히 큰 비중을 둘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성완종 사태'로 악화된 민심을 돌리기 위해서라도 차기 총리의 도덕성은 최우선 요건으로 꼽힌다.
아울러 정치권에서 차기 총리 유형이 관리형과 정무형으로 압축되는 가운데 박 대통령이 전자를 택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정무형 총리의 신호탄을 울린 이 총리가 실패로 끝나면서 무난한 관리형 인사가 다시금 세워질 것이란 분석이다.
박 대통령이 그간 법조 출신들을 선호했던 것도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김영란, 조무제 전 대법관, 목영준 전 헌법재판관과 윤증현 전 기획재정부 장관이 입길에 오른다.
"정권 3년차 '2인자' 키우게 돼"…여권, 차기 총리 문제 "너무 빨라"
반면 정무형에 더 무게가 실릴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그간의 정권들이 모두 집권 3년차에 접어들면서 야당 등의 공격을 막고 '아직도 건재한 정부'라는 것을 알리는 데 힘썼다는 점에서다.
실제 노무현 정부 3년차였던 2006년에는 정치권 주요 인사들이었던 이해찬, 한명숙 총리, 이명박 정부 때인 2010년에는 잠룡으로 일컬어졌던 정운찬 서울대학교 총장이 총리 자리에 있었다.
박상철 경기대 정치전문대학원 교수는 '데일리안'과 전화통화에서 "정권 3년차쯤 되면 '2인자'를 키우게 된다. 야당 등에 관한 견제용"이라며 "5년 단임제인 현 대통령제에서 반복되는 사이클"이라고 말했다.
정무형에 적합한 총리 후보들로는 오세훈 전 서울시장, 김문수 새누리당 보수혁신특별위원회 위원장 등이 거론된다. 두 인사 모두 여권의 잠룡 후보들이다. 이외에 정무형이면서도 온건한 성향을 가진 황우여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과 이주영 전 해수부장관이 하마평에 오른다.
'성완종 사태'로 상심한 충청권 민심을 다독이기 위해 충청인사를 다시 세울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이에 따라 충청 출신들인 강창희 전 국회의장, 이인제, 서청원, 정우택 의원, 심대평 전 충남지사 등이 차기 총리 후보로 언급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차기 총리에 대한 하마평이 10여명이 넘어가는 것에 대한 비판도 나온다. 최진 대통령리더십연구원장은 "너무 많이 후보자가 거론되는 것이 좋은 일은 아니다"며 "그만큼 원칙이나 틀이 없다는 걸 반증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여권은 차기 총리와 관련 최대한 말을 아끼고 있다. 유승민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21일 원내대책회의 뒤 기자들과 만나 차기 총리 문제에 대해 "너무 빠른 이야기"라고 말했다. 여권의 한 보좌진도 "현 상황에서 차기 총리에 대해 뭐라고 언급할 수가 없다. 모두 조용하다"고 전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