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승용·정청래 불참, 문재인 "'친노수장' 말 없도록..."
최고위서 "패배한 것도 모자라 당내 분열로 실망 안겨드려, 사과"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가 11일 재·보궐선거 패배에 이은 당내 갈등 상황에 대해 “'문재인은 친노수장'이란 말이 완전히 없어질 때까지 노력을 멈추지 않겠다”며 수습 의지를 밝혔다.
문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패배한 것도 모자라 당내 분열과 갈등으로 국민에게 더 큰 실망을 안겨드렸다”며 “그 모습이 친노·비노, 친노패권주의라는 분열의 프레임이다. 그 프레임을 넘어서지 못하면 희망은 없다”고 말했다.
그는 또 “내가 당대표가 돼서 사심없는 공정한 당 운영으로 기필코 그 프레임에서 벗어나겠다고 결심한 것도 그 이유 때문이다. 전대 이후 그 노력이 성과를 거두는 듯 했다”며 “그러나 재보선 패배로 원점으로 되돌아 간 것이 현실”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지난 8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정청래 최고위원의 ‘사퇴 공갈’ 발언으로 주승용 최고위원이 “사퇴하겠다”며 자리를 박차고 나간 일련의 사태와 관련, 문 대표는 “당을 대표해서 특히 사과드린다”며 “우리 자신이 국민에게 신뢰와 희망을 드리지 못한다면 무슨 자격으로 정부여당을 비판하겠나”라고 말했다. 사태의 중심에 선 정 최고위원과 주 최고위원은 이날 회의에 불참했다.
이어 막말 논란을 빚은 정 최고위원을 겨냥해 “최고위 모두 발언은 대표와 최고위원들의 개인적 발언이 아니라, 당을 대표해 국민에게 드리는 발언”이라며 “그런만큼 당 입장에 서서 공감받을 수 있는 언어와 정제된 표현으로 발언해달라”고 지적했다.
또한 최고위원직 사퇴 의사를 밝힌 뒤 회의석상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은 주 최고위원을 향해서는 “최고위원이 최고위에 참석하고 역할을 다하는 것은 권리가 아니라 의무”라며 “최고위원직에 출마하고 당선됐을 때 당원에게 그 의무를 부여받고 약속하는 것이다. 특히 주 최고위원은 호남을 대표하고 대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면서 최고위원직 복귀를 촉구했다.
아울러 주 최고위원과 정 최고위원의 갈등 상황에 대해 “두 최고위원이 오늘 회의에는 참석을 못했지만, 문제를 풀기 위한 성의있는 노력이 이 시간에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한편 유승희 최고위원은 지난번 최고위원회의에서 ‘나홀로’ 노래 부르기로 눈살을 찌푸리게 한 데 대해 “내 의도와는 달리 심려를 끼쳐드려서 죄송하다”며 고개를 숙였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