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이 나서서 빅딜 제안, 새누리 단칼에...
문재인 "권역별비례 수용하면 오픈프라이머리 당론 받아들일 것"
황진하 "선거구획정은 의석수 늘어, 권역별비례대표 할 수 없어"
>b>[기사 보충 : 2015.08.05 11:20]
총선을 앞두고 여야가 각각 권역별 비례대표제와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을 주장하는 가운데,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는 5일 “새누리당이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수용하면 우리당도 오픈프라이머리를 당론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새누리당은 거절의 뜻을 밝혔다. 권역별 비례대표제와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은 별개라는 입장이다.
문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이같이 말하고 “선거구를 재획정하는 이번 기회에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도입하지 못하면 내년 총선에서 시행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해진다”며 “논의방식은 정개특위 내에서 여야 대표가 만나든 어떤 방식이든 좋다”고 제안했다. 앞서 선거구 획정위원회는 오는 13일까지 국회가 선거구 재획정 기준을 마련할 것을 요구한 바 있다.
그는 특히 당 혁신위의 ‘의원 정수 확대’ 방안이 논란을 빚은 것을 의식한 듯 “우리도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수용하되 의원 정수는 현행대로 유지하면서, 지역구와 비례대표 의석 배분만 조정하자는 중앙선관위 안에 찬성한다”며 “여야가 각자의 방안만 고집하지 말고 선관위의 제안을 중심으로 통 큰 합의를 이룰 것을 제안하며, 새누리당의 조속한 호응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문 대표의 이같은 제안에 대해 “두 사안은 별개의 문제”라며 거절의 뜻을 분명히 밝혔다.
김 대표는 같은 날 최고중진연석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조금 수용하기 어렵지 않겠나"라며 이같이 말한 뒤 “내 개인 의견은 비례대표를 확대한다는 것은 정치 발전에 도움이 안 된다"고 반대 입장을 피력했다. 다만 “모처럼 야당 대표가 제안한 것인 만큼 신중하게 잘 검토해 보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황진하 새누리당 사무총장도 회의 직후 기자들의 질문에 “선거구간 인구편차를 2대1로 하라는 헌재 결론에 따라 숫자에 맞추다보면 의석수가 당연히 늘어나게 된다. 그럼 현재 비례대표를 줄일 수 밖에 없는데, 그렇게 줄여나가면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어떻게 한단 말인가”라며 “따라서 300석 이내로 하겠다는 것은 다행이지만, 권역별 비례대표제와 같이 연계하는 딜을 하는 데 한계성이 있다”고 답했다.
황 총장은 또 앞서 회의 석상에서 “야당이 오픈프라이머리를 고려하겠다고 한 것은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면서도 “권역별 비례대표제가 지역 불균형을 해소하고 군소정당에 유리한 이점은 있지만, 이 문제는 비례대표 고유의 이유와 특성을 퇴색시킨다”며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채택하면 의원 정수가 늘어날 수밖에 없는 우려가 있어서 야당에서 심도있는 논의를 더 한 다음에 다시 제안하는 것을 기대하겠다”고 선을 그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