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김무성 "권역별 비례대표? 취지 좋지만 의미 퇴색"


입력 2015.08.06 11:41 수정 2015.08.06 11:45        이슬기 기자

새누리 "오픈프라이머리 대신 '국민공천제'" 새정치 "빅딜 수용부터"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6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이야기하고 있다. ⓒ데일리안 홍효식 기자

이종걸 새정치민주연합 원내대표가 6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서 최재천 정책위의장과 무언가 논의하고 있다. ⓒ데일리안 홍효식 기자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6일 “오픈프라이머리를 오늘부터 ‘국민공천제’라는 이름으로 바꾸도록 하겠다”며 오픈프라이머리 도입 필요성에 힘을 실었다. 반면 새정치민주연합은 문재인 대표의 ‘권역별비례대표제-오픈프라이머리 연계’ 제안을 새누리당이 수용하지 않는다며 “속좁은 정치”라고 비판했다.

김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국민들은 현재 국민공천제 도입에 60% 이상 찬성한다. 공천 혁명은 정치개혁의 결정판이자 정치개혁의 원칙으로, 다른 제도와 바꿀 수 없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특히 야당이 주장하는 권역별 비례대표제와 관련해 “의원정수를 늘리는 것도 국민 대다수가 정치권을 어떻게 볼지 생각하면 거의 불가능한다”며 “권역별 비례대표제의 경우, 현행 선거제도의 극심한 지역주의 구도 해소를 위한 취지로 만들어졌지만, 의원 정수 늘리기 등 그 의미가 많이 퇴색됐기 때문에 실제 적용에는 곤란하다”고 선을 그었다.

다만, “원래 제도의 취지가 좋고 야당대표의 제안인 만큼, 우리 실정에 맞는 안으로 조정하는 논의를 정개특위에서 하자는 게 우리 입장”이라며 재조정 가능성은 열어뒀다.

이와 반대로 새정치연합은 문 대표가 전날 제안한 ‘빅딜’을 재차 강조하며 새누리당의 협조를 촉구했다.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야당 간사인 김태년 의원은 같은 날 정책조정회의에서 “문재인 대표가 교착상태에 빠진 정치개혁 과제들을 풀어내기 위해 권역별 비례대표제와 오픈프라이머리를 동시에 논의·합의하자고 통크게 제안했다”며 “김무성 대표와 새누리당도 통 크게 화답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이어 “논의와 합의를 못하겠다고 하는 것은 내 주장만 옳고 상대방 주장은 듣지않겠다는 것이며, 현재 기득권을 지키고 계속 기득권을 누리겠다는 이야기와 다르지 않다”며 “이는 속좁은 정치라고 말할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새누리당을 향해 “인구편차 2대1 비율을 지키라는 헌재의 판결과 정치개혁을 하라는 국민의 준엄한 명령이 너무 크기 때문에 이번 정개특위는 선거제도와 선거구획정 기준 등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결정과 합의를 해내야한다”며 “치열한 토론과 협상이 필요한데, 새누리당이 정개특위 간사와 위원들에게 협상 재량을 안주는 것 같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중요 안건의 결정이 더딘 이유가 있다면 바로 이 문제라고 본다”며 “이들이 재량권을 갖고 책임있게 협상에 임해서 합의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하고 보장해달라”고 덧붙였다.

이슬기 기자 (wisdom@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슬기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