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개특위, 선거구 획정 기준 합의 또 실패...31일 재의결 시도
농어촌 지역 의원 대표성과 정의당 의석 수 문제 걸림돌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는 국회의원 정수 유지 및 지역구, 비례대표 의석 비율을 선거구획정위에 일임하는 내용의 여야 잠정합의안 의결에 또 실패했다.
정개특위 공직선거법소위원회는 27일 오전 국회에서 지난 18일 도출한 잠정합의안을 가결하려고 했으나 실패했다. 따라서 공직선거법소위는 오는 31일 다시 회의를 열고 잠정합의안을 의결할 계획이다.
이번 회의에서도 농어촌 지역 의원들과 정의당이 우려하고 있는 농어촌 지역구 대표성 약화 문제와 비례대표 의석 수 축소 등의 주제가 다시 올랐다.
농어촌 지역 의원들은 내년 총선에서 농어촌 지역 의석 수 축소가 예상돼 지역 대표성을 강화할 방안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정의당은 획정위가 의석 수 비율을 결정할 시 비례대표 의석이 줄 수 있어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이에 대해 여당 간사인 정문헌 의원은 "여야 합의 부분은 의원정수를 300으로 동의해 현상유지 지역구가 246개로 현실화됐다. 농촌 의석수가 줄어들 수밖에 없는 구조이니 농촌지역 대표성 확보 문제가 나온다"며 "이를 어떻게 할지 당내에서 깊게 논의할 필요성이 있다. 내일 의총에서 논의하고 결정지어서 (내주) 월요일엔 결론을 내고자 한다"고 계획을 전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