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 "전세계가 한반도 통일 축하해주는 꿈 간절"
유엔 총회 기조연설 "북, 추가도발 말고 개혁 개방해야"
박근혜 대통령은 28일(현지시각) 오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제70차 유엔총회에서의 기조연설을 통해 "유엔이 1948년 대한민국의 탄생을 축복해 주었던 것처럼, 통일된 한반도를 전 세계가 축하해 주는 날이 하루속히 오기를 간절히 꿈꾸고 있다"면서 "북한은 추가도발보다 개혁과 개방으로 주민들이 어려움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개혁 개방을 촉구했다.
박 대통령은 "(북한이) 핵개발을 비롯한 도발을 강행하는 것은 세계와 유엔이 추구하는 인류평화의 가치를 훼손하는 길이 될 것"이라며 "북한이 과감하게 핵을 포기하고 개방과 협력의 길로 나온다면, 대한민국은 국제사회와 힘을 모아 북한이 경제를 개발하고 주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그는 이어 "지난 1년간 인권 분야에서 국제사회의 큰 이목을 끈 사안의 하나는 바로 북한 인권문제"라고 지적하고 "작년에 발표된 북한인권조사위원회(COI) 보고서는 북한 인권 해결을 위한 국제사회의 적극적인 대응을 요구한 바 있고 유엔 인권이사회와 총회의 결의채택뿐만 아니라 안보리에서도 논의하는 상황으로까지 발전했다"며 북한의 인권개선을 촉구했다.
박 대통령이 유엔 연설을 통해 이같이 강조한 것은 최근 북한 정권이 핵개발 및 미사일 발사를 시사하는 등 한반도 긴장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국제사회의 관심과 연대를 이끌면서 북한의 태도변화를 유도하려는 의미로 풀이된다.
박 대통령은 또 일본 정부가 부인하고 있는 위안부 문제와 관련 "무엇보다 몇분 남지 않은 2차 대전 당시 혹독한 여성폭력을 경험한 피해자들이 살아계실 때, 마음의 상처를 치유할 수 있는 해결책이 조속히 마련되어야 한다"고 힘주어 말하면서 "금년은 특히 '여성, 평화와 안보를 위한 안보리 결의 1325호'가 채택된 지 15년을 맞는 해로서, 국제사회가 분쟁 속의 여성 성폭력에 더 큰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일본의 집단자위권 법제화에 대해선 "이번에 통과된 일본의 방위안보법률은 역내국가간 선린우호 관계와 이 지역의 평화와 안정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투명성있게 이행되어 나가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박 대통령은 "새마을운동은 경쟁과 인센티브를 통해 자신감과 주인의식을 일깨우고, 주민의 참여 속에 지역사회의 자립기반을 조성한다는 점에서 개도국 개발협력의 효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면서 "UNDP, OECD와 함께 새마을운동 특별행사를 열고, 개도국 빈곤퇴치와 혁신적 지역공동체 건설에 협력해서 새마을운동이 개도국의 '새로운 농촌개발 패러다임'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이러한 노력을 더욱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박 대통령이 유엔총회에서 기조연설을 한 것은 지난해 69차 총회에 이어 두번째이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