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원희룡, 반기문 만나 "에너지신산업 플랫폼 제주모델로"


입력 2015.12.07 15:16 수정 2015.12.07 15:17        조정한 기자

원희룡 "제주 모델 2500여개 지역에 접목가능, 협조해달라"

원희룡 제주지사는 6일(현지시각) 반기문 유엔사무총장을 만나 북한과 개발도상국, 나아가 전 세계 2500여 지역에 보편적으로 적용 가능한 '에너지신산업 플랫폼 제주 모델'을 소개하고, 제주 모델을 우선 북한과 개도국에 접목할 수 있도록 유엔 차원의 지원과 협조를 구했다. ⓒ제주도청 서울본부

원희룡 제주지사는 6일(현지시각) 반기문 유엔사무총장을 만나 북한과 개발도상국, 나아가 전 세계 2500여 지역에 보편적으로 적용 가능한 '에너지신산업 플랫폼 제주 모델'을 소개하고, 제주 모델을 우선 북한과 개도국에 접목할 수 있도록 유엔 차원의 지원과 협조를 구했다.

유엔기후변화당사국총회(COP21) 참석차 파리를 방문한 원 지사는 6일(현지시각) 오전 COP21 UN 컨퍼런스 룸에서 반 총장과 면담을 갖고 2030년까지 제주 전력 사용량의 100%를 신재생에너지로 대체하는 에너지신산업 플랫폼 제주 모델을 설명했다.

특히 원 지사는 이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이미 실증단계를 마친 제주시 행원리의 '신재생에너지 자립마을' 조성사업을 언급하며 "이러한 제주 모델은 중앙집중적 에너지공급이 어려운 도시와 섬 등 전세계 2500여 지역에 적용할 수 있다는 면에서 국제사회의 주목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극심한 에너지난을 겪고 있는 북한에도 남북협력기금 또는 공적개발원조(ODA) 자금 지원을 통해 제주 모델을 구축하는 시범사업을 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혔다.

원 지사는 "중앙집중식 아닌 분산형, 자립형에너지 그리고 지속가능하고 평화적인 에너지를 북한과 공유할 수 있도록 교류와 지원을 강화해나가는 것이 동북아 에너지 개발과 협력에 매우 중요한 모델이 될 수 있다"며 "앞으로 방북하시거나 북한에 대한 메시지를 내실 경우 제주 사례를 적극 활용하고 지원해주시길 부탁드린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원 지사는 "에너지 복지 차원에서 북한은 물론 인도, 인도네시아 같은 개도국 등에도 제주 모델 적용을 넓혀가야 한다"며 "반 총장께서 개도국에 대한 ODA 등 유엔의 개발 어젠다 결정에서 제주 사례가 적용 가능하도록 국제사회에서 적극 지원해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대해 반기문 총장은 "기후변화대응 체제를 구축하는 데 있어 중앙정부는 물론 지방정부의 역할도 중요하다"며 "'카본프리아일랜드'(탄소없는 섬), 글로벌에코플랫폼으로 가고 있는 제주의 노력에 대해 높이 평가한다"고 말했다.

한편 제주도 관계자는 "원 지사가 COP21 세션 발표자로 나선 데다 이 분야에 있어 지방정부로서 제주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점이 회의 전체에 공유됐다"며 "반 총장께서 이를 격려하고 지속적인 협력관계를 다져가겠다는 의미에서 마련됐다"고 설명했다.

조정한 기자 (impactist90@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조정한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