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리베이트 최대 51만원" 갤S7-G5발 재고떨이 한창


입력 2016.03.08 16:29 수정 2016.03.08 16:37        이호연 기자

페이백 30만~50만원...갤S7 9일부터 유통점 배포

온라인 불법 영업에 용산, 강남역 등도 동요

'갤럭시S7(왼쪽)'과 'G5'ⓒ삼성전자

삼성전자 '갤럭시S7'과 LG전자 'G5' 출시를 앞두고 이동통신시장이 본격적으로 구형 단말 재고떨이를 시작했다. 특히, 오는 11일부터 갤럭시S7과 갤럭시S7 엣지가 판매를 시작하는 가운데 '갤럭시S6', 'V10' 'G4' 등의 전작 제품들의 재고 소진을 위한 판촉이 정점을 찍는 중이다. 일각에서는 특정 단말에 50만원에 달하는 리베이트(판매장려금)가 실리고 있다며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8일 업계에 따르면 갤럭시S7 출시를 일주일 앞둔 지난 주말부터 구형 단말 판매가 본격 진행중이다. 중소 유통점들은 재고 소진을 위해 공시지원금 추가 지원, 이벤트 경품 등을 내세우며 신제품 준비에 여념이 없는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일부 유통점에서는 과도한 리베이트를 지급하는 등 불법 판매 사례가 크게 증가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같은 판매 사례는 대부분 온라인을 통해 이뤄지고 있다는 전언이다. 실제 지난 주말 뽐뿌, 특정 폐쇄몰 등의 온라인 사이트에서는 V10, 갤럭시S6 등의 단말에 정상수준이 넘는 리베이트를 지급한 사례가 포착되기도 했다.

LG전자의 최신 모델 V10에는 최대 51만원의 리베이트가 지급됐으며, 갤럭시S6에는 45만원의 리베이트가 실렸다. 해당 금액은 방송통신위원회에서 가이드라인으로 정한 30만원을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실제 판매 현장에서는 공시 지원금 상한선 33만원을 넘는 돈이 페이백 등의 불법 방식으로 지급됐다는 것을 뜻한다.

업계는 게릴라성으로 이뤄지고 있는 이같은 불법 영업 행위가 전반적으로 확산될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당장 단말을 싸게 구입할 수 있으니 소비자 입장에서는 매력적으로 보이나, 불법 행위가 이뤄지는 대부분 온라인 유통점들이 음지에서 활동하고 있어 개인정보 유출 혹은 페이백 피해 등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다.

V10 판매 정책 사례. 뽐뿌 캡쳐
이들 온라인몰은 판매 사전승낙서를 정식으로 받은 유통점주들이 아닌, 공급된 단말을 각 유통점에 전달하는 중개인들이 약식으로 운영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정식 유통점이 아니기 때문에 소비자 피해가 발생해도 정부의 도움이나 구제를 받기 어렵다. 설상가상으로 정부의 단속은 오프라인의 중소 대리점이나 판매점에 치우쳐, 정작 문제의 근원인 불법 온라인 유통점들은 유유히 단속을 피하는 실정이다.

이통업계 관계자는 “지난 4일부터 7일까지 번호이동 수치로만 보면 일평균 1500건으로 정상 수준이었지만, 불법 영업 사례가 눈에 띄게 급증했다”며 “이같은 상황으로 그동안 불법 영업 방지 자정 노력을 계속해왔던 용산 전자상가를 비롯한 의정부 강남역 등 주요 집단 상가도 생존을 위해 (불법 영업에) 동참을 고민하는 조짐이 보이고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갤럭시S7과 G5 출시 기간인 3월 11일부터 4월 초까지 불법 재고 떨이 행위가 이어질 것으로 보여진다”며 “신제품 출시로 활력을 찾고 있는 다수의 소매 유통점들만 애꿎은 피해를 입지 않도록 방통위의 조치가 시급하다”고 밝혔다.

한편, 갤럭시S7과 갤럭시S7 엣지는 이르면 내일부터 각 도매점으로 배포된다. 본격 판매는 11일부터 시작된다.

이호연 기자 (mico91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