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베이트 의혹' 중간보고 '진상조사단'은 '의혹해명단'?
핵심 인물(박선숙, 김수민, 왕주현) 빠진 조사 "앙꼬없는 찐빵"
이상돈 단장 "조사라기보다 면담 요청할 것" '그들만의 새정치' 비아냥도…
핵심 인물(박선숙, 김수민, 왕주현) 빠진 조사 "앙꼬없는 찐빵"
이상돈 단장 "조사라기보다 면담 요청할 것"
'그들만의 새정치' 비아냥도…
국민의당이 '리베이트 의혹'과 관련 13일 진상조사단을 구성하고 활동에 나섰지만 조사단이 '의혹해명단' 수준에 불과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는 진상조사단이 원내 인사로만 구성됐고, 구성 직후에도 '검찰의 수사에 한해서만 조사를 하겠다'며 스스로 조사범위를 축소한 것에 기인한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급격히 악화되는 여론에 "'일단 급한 불부터 끄고보자'는 미봉책 아니냐"는 의심의 눈초리도 존재한다.
이런 우려는 당 최고위원이자 진상조사단장인 이상돈 최고위원의 15일 기자간담회에서도 드러났다.
이날 국회에서 열린 비공개 최고위원회의 후 이 최고위원은 "지금까지 판단한 것을 말씀드리겠다"며 기자들과의 간담회를 자청했다. 간담회에서 이 최고위원은 "리베이트가 국민의당으로 흘러갔다는 것은 전혀 근거가 없다"고 했다. 이는 지난 9일 이 문제가 불거진 이후 계속된 기자들의 질문에 사실상 처음으로 공식적인 당 차원의 대답을 내놓은 것으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고발 내용을 정면으로 반박하는 내용이다.
그러나 이 최고위원은 이 사건의 핵심 관계자인 박선숙·김수민 의원, 왕주현 당 사무부총장의 설명을 들었냐는 물음에는 "아직 못받았다"고 대답했다. "핵심관계자의 설명 없이 조사가 되느냐"는 질문에는 "일단 업체들 우선으로 만나보고 추후 하려고 한다"고 말했고 이어진 "당사자 이야기를 들어볼 수 있지 않았냐"는 질문에는 "앞으로 들어보려 한다"고 했다.
결국 그간 조사단이 만난 업체 관계자는 브랜드호텔의 실질 운영자이자 현재 출국금지 조치 중인 숙명여대 김모 교수, 광고대행사로 알려진 'S사' 김모 대표와 당의 총무국장 등 3명이다. 이 최고위원은 이들 중 유일한 당내 인사인 총무국장의 이야기에 대해선 "특별히 들은 이야기는 없다"고 소개했다. 고발장에 연루된 다른 업체 'B'사의 대표는 "연락이 되지 않아 만나지 못했다"고 말했다.
특히 이 최고위원은 '최종조사 완료 전에 박선숙·김수민 의원이나 왕주현 사무부총장을 조사는 할 생각이냐'는 질문에는 "조사라기보다는 면담을 요청할 예정이다"고 답했다. 이를 두고 정치권 일각에서는 '도대체 뭘 조사했다는 것인지 모르겠다', '진상조사단의 역할과 권한이 뭔지 모르겠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사실 이런 '눈가리고 아웅'식의 진상조사는 예견된 수순이었다. 9일 '동아일보'의 단독보도로 불거진 직후 안 공동대표는 "사실이 아니라고 보고 받았다"며 일축했으나 여론이 들끓자 이틀만인 11일 "검찰 조사에 성실하게 응하겠다. 전체 다 조사하겠다"고 말하며 진화에 나섰다.
그러나 바로 다음날 조사단장인 이상돈 최고위원은 "안 대표 의지에 따라 공천 의혹까지 조사할지 여부가 결정된다"고 톤다운 시켰고 13일엔 손금주 수석대변인이 "일단 선관위에서 고발한 사항에 대해서만 조사한다"고 선을 그었다.
국민의당은 이번 '진상조사'에 대해 전혀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선관위의 고발 내용이 리베이트로 인한 불법 정치자금 수수인 만큼 이 부분에 대해 조사를 했고 문제가 없음이 밝혀진 것이라는 주장이다.
15일 이상돈 최고위원의 기자간담회에 동석한 고연호 대변인은 "국민의당이 리베이트를 받았거나 연루된 것 아니냐는 것에 곤혹스럽고 의혹이 많았는데 결국은 그게 아니라는 것이 조사 결과고 거기에 방점을 두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통장 거래 내역을 봤을때 업체들로 흘러간 돈이 다시 국민의당으로 돌아온 흔적이 없기 때문에 '사실이 아니다'라는 주장이다.
이를 두고 정치권 관계자들은 "'결국 눈가리고 아웅' 아니냐"는 반응이다. 9일 첫 보도 이후 '리베이트 의혹'은 '일감몰아주기 의혹'에서 '업체 선정과정 불투명 의혹', '공천헌금 의혹', '비례대표 공천 과정 의문'까지 일파만파 커졌는데 '정무적인 판단'이라는 이유로 한꺼번에 덮는 것은 국민의당이 주장하는 '새정치'와 맞지 않는다는 논리다.
특히 박선숙·김수민 의원과 왕주현 사무부총장을 '너무 감싸고 도는 것 아니냐'는 비난도 들린다. 진상조사단의 주장처럼 실제로 통장에 오고간 거래의 흔적이 나타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목적이 진상조사라면 당연히 핵심 관계자들을 불러 그와 관련한 증언을 받아야하고, 검찰 조사에서 조사단의 주장과 다르게 문제가 발견 됐을 경우 그 증언을 토대로 일을 풀어나가야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일부에서는 박지원 원내대표가 과거 '검찰의 편향수사를 좌시하지 않겠다'고 한 발언을 놓고, 조사단이 검찰보다 먼저 '문제가 없다'고 프레임을 짜놓고 후에 나오는 검찰 수사 결과를 '편향수사'로 몰아붙이려는 사전작업을 하고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벌써부터 각종 인터넷 게시판과 기사 댓글은 '그들만의 새정치'라는 비아냥이 심심찮게 보인다. 비록 15일 이 최고위원의 발표가 '중간 보고'의 성격을 띄지만 '리베이트 의혹'으로 불거진 수많은 의혹과 의문들에 국민의당이 어떤 식으로 대처해나가는가에 따라 국민은 국민의당이 주장하는 '새정치'의 진정성을 판단할 것으로 보인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