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30대 그룹 1인당 실적 기여 줄고 인건비는 상승


입력 2016.06.26 13:00 수정 2016.06.26 16:19        이홍석 기자

최근 5년간 매출과 수익성 악화 속 인건비 연 4.2%↑

생산성과 연계된 유연한 임금 체계 도입 필요

30대그룹 상장사 1인당 매출액·영업이익·인건비 추이(’11∼’15년).ⓒ전국경제인연합회
30대그룹 상장기업들의 종업원 1인당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줄며 수익성이 악화됐으나, 1인당 인건비는 매년 4.2% 상승한 것으로 분석됐다. 기업들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해 생산성과 연계한 유연한 임금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26일 발표한 ‘30대그룹 상장사 인건비·수익성 분석’ 결과에 따르면 최근 5년간 30대그룹 상장사의 종업원 1인당 매출액은 지난 2011년 10억7993만원에서 2015년 9억6866만원으로 1억1127만원(연평균 2.7%) 감소했다.

또 1인당 영업이익은 2011년 7132만원에서 2015년 5317만원으로 1815만원(연평균 7.1%) 감소했으나 같은기간 1인당 인건비는 7453만원에서 8787만원으로 1334만원(연평균 4.2%) 증가했다.

30대그룹 상장사의 종업원 1인당 매출액대비 영업이익 비중은 2011년 6.6%에서 2015년 5.5%로 1.1%포인트 감소했고, 매출액대비 인건비 비중은 2011년 6.9%에서 2015년 9.1%로 2.2%포인트 증가했다.

전산업 기업 평균과 비교 가능한 지난 2014년까지의 추이를 보면, 2011년부터 4년간 30대그룹 상장사의 영업이익 비중 하락폭은 1.3%포인트로 전 산업 기업의 평균 영업이익 비중 하락폭(0.5%포인트)보다 컸다. 같은 기간 30대그룹 상장사의 인건비 비중 증가폭은 1.6%포인트로 전산업 기업의 평균 인건비 비중 증가폭(1.4%포인트)보다 높았다.

업종별로 최근 5년간 매출액대비 영업이익 비중이 증가한 업종은 운수업(2.4%포인트) 등이었고 영업이익 비중이 감소한 업종은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9.4%포인트), 출판영상방송통신서비스업(-2.4%포인트), 제조업(-1.3%포인트) 등의 순이었다.

같은 기간 매출액 대비 인건비 비중이 증가한 업종은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7.9%포인트), 출판영상방송통신서비스업(2.4%포인트), 제조업(2.3%포인트) 등의 순이었고 인건비 비중이 감소한 업종은 없었다.

한편 최근 5년간(2011~2015년) 30대그룹 상장사의 총 매출액은 지난 2011년 821조256억원에서 2015년 835조5372억원으로 14조5116억원(연평균 0.4%) 증가했다.

총영업이익은 지난 2011년 54조2190억원에서 2015년 45조8604억원으로 8조 586억원(연평균 4.1%) 감소했으며, 총인건비는 2011년 56조6644억원에서 2015년 75조7931억원으로 19조1287억원(연평균 7.5%) 증가했다.

송원근 전경련 송원근 경제본부장은 “최근 5년간 대기업의 1인당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감소하고 있지만, 1인당 인건비는 매년 증가했다"며 “대기업의 인건비 비중 상승은 제품의 원가경쟁력 저하로 이어져 글로벌 시장에서 시장점유율이 하락하는 요인 중 하나로 작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우리 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생산성과 연계한 유연한 임금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조사대상은 지난 2016년 4월 공정거래위원회가 지정한 대규모기업집단에서 공기업, 금융그룹 및 상장사가 없는 부영그룹을 제외한 상위 30대그룹이다. 30대그룹은 삼성·현대차·SK·LG·롯데·포스코·GS·한화·현대중공업·한진·두산·KT·신세계·CJ·LS·대우조선해양·대림·금호아시아나·현대백화점·현대·OCI·효성·에쓰오일(S-OIL)·대우건설·영풍·하림·KCC·KT&G·한국타이어·코오롱 등이다.

이홍석 기자 (redston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