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장 쌓아올린' 청와대, 성난 민심 '더 자극'
핵심증인 청문회 불출석…현장조사도 거부
국조특위 '민심역풍' 우려에 강행
청와대가 가장 힘든 시기에 '경계의 담장'을 높게 쌓아올렸다. 국회의 탄핵소추안 가결로 박근혜 대통령의 직무정지 상태에 들어간 지 일주일째를 맞은 15일까지 입을 굳게 닫고, '침묵의 방어벽'을 친 모습이다.
최근엔 '최순실 게이트' 진상규명을 위한 국회 국정조사특위 청문회 등에서 각종 의혹이 쏟아졌지만, 어떤 해명도 내놓지 않았다. 탄핵안 가결 직전까지 각종 의혹에 적극적 해명에 나섰던 것과 대비된다.
청와대 현장조사 거부…국조특위 '민심역풍' 우려에 강행
특히 청와대는 오는 16일 예정된 국조특위의 청와대 현장조사를 거부했다. 청와대 경호실은 "청와대가 국가보안시설로 지정돼 있고, 현장조사가 이뤄지면 경비시스템 등 기밀사항 노출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이에 국조특위는 청와대의 비협조적 입장에도 현장조사를 예정대로 강행하기로 했다. 여야 모두 필요성을 인정하고 있다. '성난 민심'을 감안하면 물러설 수 없는 사안이다.
더욱이 이번 현장조사는 국민적 관심이 집중된 세월호 참사 당일 '7시간 행적'과 '비선실세 관저 출입' 등을 확인할 수 있는 핵심 열쇠다. 오히려 청와대가 빗장을 풀지 않을 경우, 촛불을 횃불로 키우는 역풍을 맞을 수 있다.
아울러 박영수 특별검사팀도 필요하면 청와대 관저 압수수색도 불사하겠다며 담장을 허물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이규철 특검보는 이날 브리핑에서 '강제수사 대상에 청와대 관저가 포함되느냐'는 질문에 "수사 과정에 필요한 모든 조치를 할 예정"이라며 "청와대도 수사에 필요하다면 방법을 강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청문회 출석 못한다' 버티는 청와대에 비난 목소리 커져
전날 청문회에선 윤전추·이영선 행정관이 끝내 증인출석을 거부했다. 이들은 국조특위에 낸 불출석 사유서에서 '현재 검찰 및 특검 수사가 진행 중이라 부득이하게 국조 특위에 참석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후 국회 직원들이 동행명령장을 들고 청와대를 찾아 갔지만, 청와대는 두 사람이 연가 중이라는 이유로 돌려보냈다. 논란의 한복판에 서 있는 공직자의 부적절한 처신이라는 지적과 함께 '청와대가 국회를 우습게 본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미 지난 3번의 청문회에서 청와대측 인사로는 김기춘 전 비서실장이 출석했을 뿐, 우병우 전 민정수석과 '문고리 3인방' 등 핵심증인이 출석을 거부하며 버티고 있어 민심을 거스른다는 비난 목소리가 들끓고 있다.
새누리당 소속인 김성태 국조특위 위원장도 "청와대가 조직적으로, 고의로 회피 내지 거부하는 것으로 판단한다"며 "국민과 국회를 우롱하고 기만하는 청와대의 처사"라고 비판했다.
앞서 박 대통령은 대국민 담화를 통해 검찰과 특검 수사를 성실히 받겠다고 약속했지만, 이를 지키지 않아 여론의 역풍을 불렀다.
여권 한 관계자는 "청와대가 수사를 거부하고 법에 맞서는 모습이 민심을 들끓게 할 수 있다"며 "수사에 성실하게 임하라는 것이 탄핵과 함께 국민들이 보낸 또 다른 명령"이라고 지적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