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문재인 대세론에 '반문연대'만이 유일한 대항마?


입력 2017.02.24 06:30 수정 2017.02.24 15:27        문현구 기자

'대세론' 문재인과의 한판 승부…'이합집산' 가능성 커져

김종인 전 대표 '반문연대' 구축의 핵심 역할로 부상하나

더불어민주당 대선주자로 나선 문재인 전 대표가 23일 오전 서울 여의도 선거대책사무실에서 유웅환 전 인텔 수석매니저와 호사카 유지 교수 영입을 공식 발표한 뒤 함께 손을 잡고 있다. ⓒ데일리안

'조기대선'을 염두에 두고 국회발 '정계개편'이 소용돌이치고 있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선두권을 달리는 유력 대권주자들을 다수 보유한 더불어민주당을 상대하기 위해 각 정달별 또는 대권후보군 사이에 '세력연대'를 모색하는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여론조사 선두주자인 문재인 전 대표를 비롯해 뒤를 쫓는 안희정 충남지사, 이재명 성남시장 등 3명의 여론조사 지지율이 60%대를 오르내리며 '대권정국'을 이끌고 있는 상황이다.

'대세론' 문재인과의 한판 승부…독자세력보다는 '이합집산' 가능성 커져

다른 정당들은 '조기대선'을 맞았을 때 독자적인 힘으로 따라붙기는 벅차다는 것이 정치권 관측이다. 따라서 불가피하게 세력간 '이합집산'을 통해 '세 불리기'를 해야 하는 것이 당연하게 받아들여지고 있기도 하다. 그 기준은 이른바 '반문(반문재인)연대'로 모아진다. '대세론'에 힘입어 질주하는 문 전 대표를 향해 제동장치를 걸어야 하기 때문이다.

우선, '정당별 세력연대'가 꼽히고 있는데 범여권 쪽에서는 '보수 후보 단일화'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다. '집권당' 자유한국당과 한국당의 전신인 새누리당에서 떨어져 나온 바른정당 등이 보수진영을 중심으로 '대선후보 단일화'를 마련하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자유한국당은 각종 여론조사에 큰 주목을 받지 못하면서 지지율도 상당히 미미한 수준의 후보군이 난립하고 있다. 바른정당 역시 당 지지율도 '한 자릿수'를 벗어나지 못하고 대선출마를 선언한 유승민 의원과 남경필 경기지사의 위력도 생각만큼 크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따라 불출마를 선언했던 김무성 의원의 '재등판론'도 심심찮게 거론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보수층'을 대변할 후보를 만들기 위해 한국당과 바른정당간 '범보수 후보 단일화'를 이끌어 낼 경우 영향력이 기대 이상으로 커질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하지만, 바른정당이 한국당에서 이탈한 현역의원들 중심으로 짜여진 점과 '보수적통'을 놓고 연일 대립각을 세우는 부분들을 화합할 만한 계기가 생기지 않은다면 현실적으로 '범보수 후보 단일화' 가능성은 그리 높지 않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데일리안'과의 통화에서 "역대 대선을 분석하면 진보는 최대 34%고 보수표는 항상 48% 정도 나왔는데, 이 보수표가 현재 드러나고 있지 않다"면서 "문재인 '대세론'에 대해 많은 보수(층)들이 위기감을 느끼고 있다. '보수 대 진보' 양자 구도로 간다면 (대선) 결과를 쉽게 장담하기 어려울 수 있는 상황도 올 수 있다"고 말했다.

박지원 국민의당 대표와 주승용 원내대표, 안철수 전 대표 등이 23일 열린 국회 본회의에서 대화를 나누고 있다.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국민의당과 바른정당간 '연대설'도 끊이지 않고 있다. 국민의당 안팎에선 안철수·천정배 전 공동대표와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 등 3명의 대권후보가 있지만 문 전 대표를 상대하기에는 벅찬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대안으로 '좌클릭' 정책에 대해서도 문을 열어놓은 바른정당과의 연대를 통해 민주당을 상대하는 방안이 떠오르고 있다.

안철수 전 대표는 다소 부정적이지만 손 전 대표는 '연대'에 발을 걸치고 보수정당과 손잡는 문제도 생각하고 있다. 이대로 가면 문 전 대표에게 '대선을 그냥 내 줄 수 밖에 없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지난 22일 유승민 바른정당 의원이 "단일 후보가 민주당과 겨뤄야 해 볼 만한다"며 국민의당과의 '연대'에 대해서 가능성을 꺼내자 손 전 대표도 "(바른정당과의) 연대 가능성이 열려 있다"고 답해 여지를 남겼다.

다만, '당 대 당' 연대 시도는 아직까지 각 정당의 당내 예비경선이 마무리되지 못하는 등 '세 결집'을 위한 명확한 동기를 찾지 못해 '시나리오' 수준으로 흘러가고 있다. 대신, 개헌을 매개로 한 '제3지대'에서의 '빅텐트'에 대한 가능성은 좀 더 구체화하고 있다.

김종인 전 대표 '반문연대' 구축의 핵심 역할로 부상하나

그 중심에는 야권발 정계개편의 마지막 변수로 꼽히는 김종인 전 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 대표가 있다. 김 전 대표는 "적절한 때가 되면 밝히겠다"며 탈당 여부 등 자신의 거취에 대해 묻는 물음이 나올 때마다 명확한 입장을 알리지 않았다. 그러던 김 전 대표가 23일 자유한국당 원내외 인사 모임인 '미래를 준비하는 모임'의 조찬포럼 강연에서 대선 출마를 시사했다.

긴 전 대표는 대선 출마에 대한 물음에 "대답하기 굉장히 어려운 질문"이라며 "나라가 어려운 사태에 놓여있기 때문에 최선을 다해 나라가 좋은 방향으로 갈 수 있도록 끝까지 노력을 보겠다는 말로 갈음하겠다"고 답했다. 이를 놓고, 김 전 대표가 직접 대선출마할 수 있다는 뜻으로 정치권은 해석하고 있다.

김 전 대표가 대선출마로 돌아설 경우 탈당해 '제3지대'에서 개헌을 고리로 자신이 '비패권지대'로 규정한 '반문(반문재인) 연대'의 중심축으로 활동할 것이라는 예상에 힘이 실릴 수 있다. 앞서 지난 15일 바른정당 김무성 의원, 정의화 전 국회의장 등 여야 개헌론자들과 '빅텐트' 구성에도 박차를 가할 것이라는 예측도 나온다.

정의화 전 국회의장과 김종인 더불어민주당 전 비상대책위 대표, 김무성 바른정당 의원이 지난 15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의 한 호텔에서 정국현안 논의를 위해 만나 대화를 나누고 있다.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아울러, 개헌을 매개체로 '대권정국'에서 김 전 대표가 '3년 임기단축 대통령론'으로 승부를 걸 수 있다는 전망도 정치권 일부에서 제기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바른정당과 국민의당 등과의 '세력 연대'도 추가로 진행해 '반문재인 전선'을 구축한다면 '조기대선'의 승부가 현재와는 다르게 흘러갈 수 있다는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실제로 김 전 대표는 당내 '반문·비주류' 국회의원들을 중심으로 개헌에 소극적인 민주당 지도부와 문 전 대표를 비판하는 모임에 연일 참가하며 '불 지피기'에 들어간 모양새다.

김 전 대표는 “개헌 문제를 단순히 정파적 이해관계에 따라 생각하고 ‘이대로 가면 편한데 개헌을 왜 하느냐’는 식의 생각을 하는 사람들이 있다”면서 “이는 한국정치와 정당문화의 고질적 폐단”이라고 꼬집었다. 이는 문 전 대표를 우회적으로 비판한 발언으로 볼 수 있다.

김 전 대표를 중심으로 '빅텐트'가 짜여지더라도 문 전 대표와 겨룰 수 있는 수준의 파괴력을 가질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미지수다. 다만, 김 전 대표의 '제3지대' 역할론은 시동을 걸고 본격 가동할 가능성이 커진 것은 분명하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최태욱 한림대 국제대학원 교수는 "김종인 전 대표는 그동안 '제3지대'를 비롯해 '비패권주의', '개헌 연립' 등을 정치적 화두로 염두에 두고 활동을 해왔다"면서 "대권정국에서 앞으로의 행보도 그 기준에서 바라봐야 한다"고 말했다.

문재인 '대세론'과 겨룰 만한 대책으로 떠오르는 '반문연대' 전선이 제대로 진지를 구축할지 여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문현구 기자 (moonhk@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문현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