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통신비 절감 정책 "국민 부담 낮추겠다"
2012년 공약 "이동전화 기본료 단계적 인하, 공용 와이파이 무상 제공"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대선후보가 11일 "과도한 통신비를 줄여 국민의 부담을 낮추겠다"고 밝혔다.
문 후보는 이날 오전 경남 창원시 창원컨벤션센터에서 "통신비를 줄여서 우리 집 지갑에 여윳돈을 만들어드리겠다"며 8대 가계통신비 인하 방안을 약속했다.
앞서 지난 2012년 대선 때도 '통신요금 인하' 공약이 등장한 바 있다. 당시 민주통합당 대선 후보였던 문 후보는 "이동전화 기본료를 단계적으로 줄이고 공용 와이파이를 무상으로 제공하겠다"며 기본료·가입비 등 요금체계 개편을 공약으로 내세웠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시장논리를 무시하는 '포퓰리즘 공약'이라며 "통신산업의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는 지적도 이어졌다.
지난 대선에 비해 이번 문 후보의 공약은 한층 더 파격적이다. 문 후보는 "통신 기본료를 완전 폐지하겠다"며 "이동 전화 기본료는 통신망을 깔고 통신설비를 만드는 데 드는 비용인데 LTE 기지국 등 통신망과 관련된 설비투자는 이미 끝난 상태"라고 주장했다.
문 후보는 올 10월 일몰 예정인 '단말기 지원금상한제'를 앞당겨서 폐지할 것도 약속했다. 문 후보는 "현재 단말기 가격이 1대 당 100만원에 육박해 해외보다 국내에서 더 비싸다"며 "이런 불공정한 가격 제도를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쓰고 남은 데이터는 다음 달로 이월하거나 가족과 지인이 함께 공유할 수 있도록 편리한 데이터 이용 환경을 만들고, 모든 공공시설에 공공와이파이 설치를 의무화하겠다고 밝혔다.
이외에도 △'단말기 가격 분리 공시제' 실시 △기업 스스로 통신비 인하 유도 △취약계층을 위한 무선인터넷 요금제 도입 △한-중-일 3국 간 로밍요금 폐지 등을 공약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