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총리 "국정교과서 폐지 후속조치 조속히 결정"
"군산조선소 폐쇄로 지역경제 악화…광범한 대책 마련해야"
"군산조선소 폐쇄로 지역경제 악화…광범한 대책 마련해야"
이낙연 국무총리가 새 정부의 국정 역사교과서 폐지 방침에 따른 후속조치를 촉구하고 나섰다.
이낙연 총리는 1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4회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를 주재해 국정교과서 여파로 생겨난 혼란을 최소화하고, 폐지에 따른 후속조치를 조속히 시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난 정부에서 추진되던 국정교과서는 5월 말 문재인 대통령 지시로 공식적으로 폐지됐다. 정부는 중고교 역사교과서 발행체제를 국·검정 혼용에서 검정체제로 전환하는 고시개정을 완료해 국정교과서 폐지 절차를 마무리했다.
이 총리는 "현재로서는 정책변화로 인한 혼란이나 갈등을 최소화하면서 역사 교육을 바로잡아 가는 조화점을 찾는 것이 우선 당면 과제"라며 "현장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검정역사교과서 적용시기와 새로운 집필기준 등을 조속히 결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군산조선소 폐쇄로 지역 경제가 악화되고 있는 점을 지적하며 정부의 대책마련을 촉구했다.
이 총리는 "수년 전부터 조선업의 불황과 구조조정으로 대량의 실업자가 발생하고, 소상공인 매출 감소 등 지역경제의 타격이 연달아 일어나고 있다"며 "군산의 경우 조선관련 산업이 고용의 24%를 차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군산조선소 가동 중단으로 지역의 경제지표가 악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군산조선소 문제는 기업의 구조조정에 속하는 문제로 정부가 개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면서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지역 경제의 충격을 완화하고, 지역주민들께 위안이 될 수 있는 대책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번 논의가 현지의 상실감과 타격에 얼마나 도움이 될지 기대에 못 미칠 수도 있지만, 관련부처는 더 고심하고 노력해 지역 경제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광범한 대책을 마련해 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정부는 군산조선소 중단 문제와 관련 전북지역을 방문해 현장 의견을 수렴하고, 이를 토대로 종합지원대책을 준비 중이다. 앞서 조선업 특별고용지원업종 지정 기간을 연장해 근로자 고용유지와 자영업자 경영안정을 위한 자금 지원 등의 조치를 취하기도 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