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수소차 전쟁…한국 '퍼스트 무버' 가능할까
韓 2022년까지 수소차 1만6000대‧충전소 310곳
日 ‘수소 사회’ 천명…2020년까지 수소차 4만대‧충전소 160곳
中 ‘수소차 굴기’…2030년까지 수소차 100만대‧충전소 1000곳
韓 기술력 최고지만…인라부족‧엄격한규제‧국민인식이 발목
韓 2022년까지 수소차 1만6000대‧충전소 310곳
日 ‘수소 사회’ 천명…2020년까지 수소차 4만대‧충전소 160곳
中 ‘수소차 굴기’…2030년까지 수소차 100만대‧충전소 1000곳
韓 기술력 최고지만…인라부족‧엄격한 규제‧국민인식이 발목
한국‧중국‧일본이 각각 수소전기차 시대를 선언하며 수소차 삼국전쟁이 본격 막이 올랐다. 한국은 기술력 면에서는 수소차 분야를 선도하는 ‘퍼스트 무버’로 평가받지만 앞으로 열릴 세계 수소차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서는 인프라 구축과 인식개선이 필요하다는 과제를 안고 있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일본은 ‘수소 사회’를, 중국은 ‘수소차 굴기’ 실현을 위해 정부가 앞장서 아낌없는 지원과 과감한 규제 완화로 관련 산업을 이끌고 있다. 한국은 2013년 세계 최초로 수소차를 양산했지만 기술력을 제외한 분야에서는 두 나라에 비해 떨어진다는 평가다.
현재 한국의 수소차 기술력은 현대자동차의 주도로 세계 1위를 달리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현대차는 2006년 수소차 생산을 시작으로 2013년 수소차 양산에 성공했다.
현대차가 올해 초 내놓은 수소차 넥쏘는 5분 충전으로 최장 609km를 달릴 수 있으며, 이는 현존하는 수소차 중 최고 성능이다. 경쟁차인 토요타 미라이는 502km, 혼다 클래리티는 589km의 1회 충전 항속거리를 갖는다.
문제는 이런 기술력을 대중화시킬 기반, 즉 인프라 구축을 위한 정부 지원과 규제 완화 노력, 그리고 국민들의 인식 변화가 경쟁국에 비해 부족하다는 점이다. 자칫하면 기술은 먼저 개발해 놓고 시장은 내줄 우려가 제기된다.
중국은 2030년까지 수소차 100만대 보급‧충전소 1000곳 설치라는 물량공세로 수소차 국제 표준을 선도한다는 계획이다. 뿐만 아니라 지난해에는 수소연료전지산업에도 1000억위안 이상을 투자하며 전반적인 수소 산업을 육성하고 있다.
일본은 한발 더 나아가 아예 ‘수소 사회’를 천명했다. 이미 2014년에 수소사회를 위한 로드맵을 마련하고, 도쿄올림픽(2020년)을 기점으로 수소전기차 4만대, 충전소 160개소를 보급하겠다고 발표했다.
일본이 말하는 수소 사회는 수소차 뿐 아니라 수소 에너지시대를 만든다는 보다 포괄적인 수소경제 계획이다.
이호근 대덕대학교 자동차학과 교수는 “수소전기차 하나만 보고 인프라 구축을 하는 것은 수지타산에 맞지 않는다”며 “일본이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수소에 주목해 왔고 클린 에너지라는 큰 그림을 그린 것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국이 일본의 수소정책에서 배워야할 점은 일본정부의 선도적인 규제완화다. 지금 한국처럼 수소충전소 설립 조건을 주거지역에서 200m, 건물에서 50m 떨어진 곳 등으로 제한하면 산속에 세우는 것 밖에 답이 없다”고 지적했다.
한국 정부는 2022년까지 수소전기차 1만6000대, 보급‧충전소 310기 설치를 목표로 하는 정책을 발표했으며 이와 함께 각 지자체도 인프라 구축 계획을 내놓고 있다. 그러나 현행의 엄격한 규제는 수소충전소 등을 세울 부지조차 마련할 수도 없다는 평가다.
규제완화보다 선행돼야 할 것이 ‘국민의 인식 변화’라는 목소리도 있다. 일반인들이 수소에 대해 위험하게 생각하기에, 관련법이 완화돼도 수소충전소 등의 부지 선정에서 시민들의 반대가 많다는 것이다.
김필수 대림대학교 자동차학과 교수는 “현재 정부의 포지티브 규제를 네거티브 규제로 바꿔야 한다”고 강조하면서도 “더 중요한 것은 국민이 수소에 관한 두려움을 완전히 해소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항구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원도 “규제완화보다 국민의 수용력 문제가 더 시급하다”며 “교육과 켐페인을 통해 수소의 안전성을 알리고 충전소 등 인프라를 구축하는 방향으로 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