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수성구 등 입지적 강점으로 여전히 인기
8·2부동산대책이 발표된 지 20개월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당시 규제 대책을 통해 투기과열지구가 지정됐던 지역들은 여전히 부동산 시장 열기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투기과열지구는 서울 전역 및 경기 과천·하남시 등 수도권 지역에 몰려 있으며 지방에서는 세종특별자치시와 대구 수성구만 지정돼 있다. 이들 지역의 아파트값 상승률은 여전히 가파른 상황이다.
17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투기과열지구인 대구 수성구의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8·2대책이 발표된 2017년 8월 기준 3억6974만원에서 올 2월 5억430만원으로, 36.4% 상승했다. 대구광역시 전체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같은 시기 대구 전체 평균은 2억5851만원에서 3억1117만원으로 16.5% 상승하는 데 그쳐 수성구의 상승률 절반에도 못 미쳤다.
경기 성남시 분당구의 경우 2017년 8월 5억9759만원에서 올 2월 8억4862만원으로, 평균 아파트값이 42.0% 올랐다. 분당구와 인접한 중원구는 같은 시기 34.3%, 광주시는 7.4% 올랐다.
마찬가지로 경기 과천시는 43.8%, 하남시는 46.6%, 세종시는 37.7%, 서울시는 38.3% 오르는 등 투기과열지구 모두 각 인접지역보다 월등히 높은 매매가 상승률을 보였다. 같은 시기 전국의 아파트값 평균 상승률은 21.0%였다.
투기과열지구의 규제는 엄격하다. 조정대상지역에 적용되는 전매제한 등 규제에다 ▲LTV·DTI 40% 적용 ▲9억원 초과 주택 특별공급 폐지 ▲민영주택 일반공급 가점제 적용 확대(전용면적 85㎡ 이하 주택은 100%, 85㎡ 이상 주택은 50%) 등이 추가됐다.
아울러 지난해 12월부터 시행된 부동산 거래신고 관련법 시행규칙에 의해 규제가 더 강화됐다. 투기과열지구에 위치한 3억원 이상의 집을 구입하면 증여, 상속금액은 물론 주택담보대출 여부 등 자금조달계획을 상세히 밝혀야 한다. 부모에게 거액의 돈을 지원 받아 집을 매입한 후 제대로 신고하지 않고 세금을 탈루하는 불법행위를 차단하기 위해서다.
이 같은 규제에도 투기과열지구가 꾸준히 인기를 끄는 요인으로는 편리한 교통망과 우수한 인프라 등이 손꼽힌다. 수도권의 투기과열지구는 강남 접근성이 뛰어난 만큼 강남을 대체할 신흥 주거지로 부상했으며, 대구 수성구의 경우 전국적으로 이름난 명문학군 및 학원가가 인기에 한 몫 한 것으로 풀이된다. 세종시는 인구가 지속적으로 유입된데다 신도심인 행복도시 인근의 토지 개발 등 호재가 이어지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규제 강화로 해당 지역의 부동산 시장이 크게 침체될 것이라고 보는 시각이 대부분이었으나 대책 발표 후에도 상승률은 가팔랐던 것으로 보인다”며 “투기과열지구의 입지적 장점이 큰 만큼 장기적인 관점에서 ‘내 집 마련’을 생각하는 수요자라면 해당 지역 내 유입을 포기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투기과열지구에서 분양을 앞둔 신규 단지들이 있어 이 같은 인기가 이어질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
대우건설은 3월 대구광역시 수성구 두산동 81-2번지 일원에 주거복합단지 ‘수성 레이크 푸르지오’를 분양할 예정이다. 단지는 지하 2층~지상 49층, 아파트 2개동, 주거형 오피스텔 1개동 등 총 500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이 중 아파트는 ▲전용 84㎡ 246가구 ▲전용 109㎡ 82가구 ▲펜트하우스 4가구로 총 332가구, 주거형 오피스텔은 ▲전용 84㎡ 168실 규모다. 대구 지하철 3호선 황금역을 걸어서 이용할 수 있는 역세권 단지로 동대구로, 수성로 등이 가까이 있어 대구 도심으로 이동하기 수월하다. 여기에 KTX 동대구역, 동대구복합환승센터도 차로 10분대로 이동이 가능하다. 단지로부터 도보권역에 들안길초, 황금초, 덕화중, 황금중, 대구과학고 등이 위치하고 있는 등 우수한 학군을 자랑한다.
효성중공업과 진흥기업은 3월 서울 동대문구 용두동 일대에서 ‘청량리역 해링턴 플레이스’를 분양한다. 최고 40층 높이의 초고층 주거복합단지로 지어지며 아파트는 전용면적 59~150㎡ 총 220가구, 오피스텔은 전용 29~52㎡ 34실 규모로 조성된다. 단지 도보권에 롯데백화점과 롯데마트, 홈플러스 등이 있고 경동시장, 청량리 전통시장 등 생활 인프라도 풍부하다.
㈜신영의 계열사인 ㈜대농은 3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 1-1번지에 ‘분당 지웰 푸르지오’를 분양한다. 지하 3층~지상 28층, 2개동, 166가구 규모로 조성되며 전용면적은 84~119㎡다. 각 동별 지상 1층~2층은 판매·근린생활시설, 5층~7층은 업무시설, 8층~28층은 공동주택으로 각각 조성된다. 단지 주변에 탄천 및 분당천이 흘러 수변 조망과 녹지 조망을 모두 갖춘 단지다.
GS건설은 오는 4월 경기 과천시 별양동 과천주공6단지를 재건축한 ‘과천 프레스티지자이’를 분양할 계획이다. 지하 3층~지상 최고 35층, 27개동, 전용면적 59~135㎡ 총 2145가구 규모로 조성되며 이 중 886가구가 일반 분양된다. 지하철 4호선 정부과천청사역, 과천역과 인접한 역세권 단지로, 청계초·문원중·과천고교 등 학교와 가깝다. 또 중앙공원과 문원체육공원 등 녹지시설과도 인접해 있으며 은행, 주민센터 등 편의시설도 주변에 자리해 편리한 생활 인프라를 누릴 수 있다.
우미건설은 오는 4월 세종시 1-5생활권에서 ‘세종 우미 린스트라우스’를 분양한다. 단지는 지하 3층~지상 최고 42층, 전용면적 84~176㎡, 465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단지가 들어서는 1-5생활권은 세종시에서도 핵심으로 손꼽히는 지역으로, 정부청사가 밀집한 중앙행정타운과 인접한 입지이며 방축천 일대 다양한 상업시설 역시 가깝게 누릴 수 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