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자국 발주량 앞세워 수주 1위, 한국 2위, 러시아 3위
중국이 2개월 연속 글로벌 수주량 1위를 차지했다.
6일 영국의 조선해운시황 분석기관인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4월 전세계 선박 발주량은 114만CGT(61척, 표준화물선 환산톤수)로 집계됐다.
이중 중국이 73만CGT(38척, 64%)를 수주하며 1위를 차지했고 한국 23만CGT(8척, 20%)로 2위, 러시아 6만5000CGT(7척, 6%)로 3위에 올랐다.
국가별로는 한국이 초대형 유조선(VLCC), 메탄올 운반선 등을 수주하며 전월 대비 125% 급증한 반면, 자국 선사가 발주한 중형 PC선, 벌크선 위주로 수주한 중국은 8% 증가에 그쳤다. 일본은 4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월부터 4월까지 국가별 수주 실적은 중국 232만CGT(99척, 61%), 한국 67만CGT(23척, 17%), 일본 44만CGT(29척, 12%)이다.
4월 발주량 114만CGT는 전년 같은 기간의 62% 수준이나 전월 발주량 89만CGT 보다는 28% 늘어난 것으로, 3월 이후 2개월 연속 증가세를 유지했다.
실제 2월 발주량은 68만CGT(38척)이며 3월 89만CGT(27척, 31%↑), 4월 114만CGT(61척, 28%↑)를 각각 기록했다.
최근 3년간 4월 누계 발주량은 2018년 1303만CGT, 2019년 995만CGT(24%↓), 2020년 382만CGT(62%↓)를 나타냈다.
선종별로 살펴보면, 수에즈막스급 유조선과 아프라막스급 유조선은 전년 대비 발주가 각각 67%(18만CGT→ 30만CGT), 269%(13만CGT→ 48만CGT) 증가한 반면 초대형 유조선(VLCC), 컨테이너선 및 벌크선 발주량은 감소했다.
대형 LNG운반선(14만㎥ 이상) 발주는 실제적으로는 없으나 지난달 카타르 페트롤리엄(QP)이 중국 조선소에 도크 예약 계약을 시작하는 등 대형 LNG 프로젝트에 대한 발주 기대감은 유효한 상태다.
4월 말 전세계 수주잔량은 3월 말 대비 72만CGT(1%↓) 감소한 7307만CGT이며, 국가별로는 중국 2630만CGT(36%)에 이어 한국 2077만CGT(28%), 일본 1048만CGT(14%) 순이었다.
전년 동기 대비 수주잔량은 일본 △487만CGT(32%↓), 중국 △449만CGT(15%↓), 한국 △93만CGT(4%↓)으로 모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4월 전세계 선박 인도량은 3월 말 대비 24만CGT(12%↓) 감소한 176만CGT이며 국가별로는 중국 82만CGT(47%), 한국 47만CGT(27%), 일본 46만CGT(26%) 순이었다.
전년 동기 대비 인도량은 한국 △20만CGT(29%↓) 중국 △16만CGT(17%↓), 일본 △9만CGT(17%↓)으로 모두 인도량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4월 클락슨 신조선가지수(Newbuilding Price Index)는 지난달보다 1포인트 떨어진 128포인트를 기록했다. 선종별 선가 추이는 LNG운반선(17만4000㎥, 1억8600만 달러), 아프라막스 유조선(4850만 달러)은 지난달과 동일했다.
반면 컨테이너선(2만~2만2000TEU)은 1억4550만 달러에서 1억4500만 달러를, 초대형 유조선(VLCC)은 9150만 달러에서 9100만달러로 줄었다.
수에즈막스 유조선도 6150만 달러에서 6050만 달러로, 벌크선(케이프사이즈)도 4900만 달러에서 4850만 달러로 소폭 하락했다.